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emotion aspect of Korean language literacy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reading attitud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is research, three questions were proposed to investigate the 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emotion aspect of Korean language literacy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reading attitud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is research, three questions were proposed to investigate the reading attitud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attitude between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read in their native language and read in Korean? And what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attitudes based on their fluency of the Korean language? Is there any link of a Korean language learner’s reading attitude and his or her reading strategies? In chapter 1, it states the purpose and importance of this research, as well as its problems. As the importance of reading is often emphasized, the number of research studies about literacy education is also on the rise.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are focused on the cognition aspect and very few focused on the emotion aspect. Thus, there is a need to conduct this research. Proving that a positive reading attitude can lead to the good habit of reading regularly. The second chapter not only provides the background knowledge of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strategies, but also seeks to reorganize the relevant literature. The third chapter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s well as the procedures, methodologies and tools that were utilized. Two surveys on reading attitude were conducted; one was about Korean language literacy and the other was about Chinese language literacy. The surveys regarding reading strategies were constructed based on SIM (2017) and other scholars’ research studies. The fourth chapter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s’ reading attitude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at of the Chinese language. A link was found between these two.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if a learner is inclined to read Chinese books, it is very likely that he or she would read Korean book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found that learners differ in their reading attitude when they read in their native language and when they read in Korean. Especially, the difference of the learners’ appraisal of their own reading ability was significant. Learners in different levels of fluency in the Korean language do not show much difference in their reading attitude although they may differ in terms of action. Besides, learners have much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reading in Chinese compared to reading in Korean. There is also some degree of link between the learners’ reading attitude and their utilization of reading strategies. Learners who want to read or feel comfortable when they read tend to utilize more reading strategies. The fifth chapter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stated the limitations,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include the low survey response rate and the lack of in-depth study on other aspects of reading attitude. However,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although learners think that reading is beneficial, they do not read often.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instill in their students a passion for reading. Besides, as more advanced content are being taught, it is easy for learners to develop a negative attitude towards reading. Thus, teachers should always consider their students’ emotion when they teacher. Because learners tend to utilize effective reading strategies when they are emotionally comfortable, teachers should also seek to reduce reading-related stress. There is also a need to conduct a survey targeting at language learners.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읽기에 대한 태도를 연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읽기 교육의 정의적 측면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 ...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읽기에 대한 태도를 연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읽기 교육의 정의적 측면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읽기 태도를 연구하기 위해 3가지 문제를 제기하여 학습자들의 모국어 읽기 태도와 한국어 읽기 태도의 관계, 숙달도에 따른 학습자들의 한국어 읽기 태도에 대한 차이점, 학습자들의 읽기 태도와 읽기 전략 사용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지식정보 사회와 언어 교육에서 읽기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읽기에 대한 교육이나 지도가 이루어졌다. 인지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읽기 연구들뿐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에 대한 읽기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특히 읽기 태도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긍정적인 태도가 학습자들에게 지속적인 읽기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 지식과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읽기 태도의 정의, 구성 요인 그리고 읽기 전략의 정의, 분류 등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에서는 읽기 태도에 관한 연구와 읽기 전략에 관한 연구를 나누어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의 대상, 연구의 절차, 연구의 도구, 연구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의 읽기 태도와 읽기 전략을 연구하기 위해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4장에서는 학습자의 중국어 읽기 태도와 한국어 읽기 태도의 연관성과 차이점, 숙달도에 따른 학습자들 간의 한국어 읽기 태도 차이, 그리고 학습자들의 한국어 읽기 태도와 한국어 읽기 전략의 사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중국어 읽기 태도가 한국어 읽기 태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특히 실행 요인의 상관계수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국어 읽기에서 하는 행동이 한국어 읽기에서 하는 행동에 높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자의 중국어 읽기 태도는 한국어 읽기 태도와 차이가 있다. 다섯 요인 중에서 읽기에 대한 자아 인식의 점수 차이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는 읽기에 대한 자아 인식이 다르고, 자신의 모국어 읽기에 대한 인식이 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숙달도에 따라 학습자 집단 간의 읽기 태도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실행 요인을 제외한 다른 요인에서의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실행 요인에서 초급 학습자들의 읽기 태도가 고급 학습자들의 읽기 태도보다 더 긍정적인 것을 발견하였다. 넷째, 학습자들의 읽기 태도와 읽기 전략에서 일부 요인 간에 상관관계가 있었다. 실행 요인과 편안함 요인 중에서 읽기 전략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요인들이 많이 나타났다. 학습자들이 한국어 읽기를 하고 싶어 하거나 한국어 읽기에 대해 편안함을 느끼면 읽기 전략을 적극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5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다시 정리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이 모국어와 한국어 읽기의 가치를 인정하지만 행동이 따르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이 학습자들의 행동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꿀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고급으로 갈수록 학습자들은 공부할 내용의 난이도가 높아지면서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부정적인 태도다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교사들이 이점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긍정적인 읽기 태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들이 편안함을 느낄 때, 읽기를 하고 싶을 때는 읽기 전략을 다양하게 사용하였다. 따라서 교사들이 읽기를 지도할 때 학습자의 감정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읽기 수업을 탐색해야 한다. 아울러 외국인 학습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읽기 태도 검사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