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표현의 교육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피동표현에 대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차이점에 주목하여 한국피동표현의 제약을 밝히며,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해서 그를 바탕으로 중국학습자들을 위한 피동표...

연구는 피동표현에 대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차이점에 주목하여 한국어 피동표현의 제약을 밝히며,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해서 그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피동표현의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한국어의 피동표현이 다양한 피동 형태에 따라 실현되고 각 피동표현마다 복잡한 규칙이 내재한다는 점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중국어 피동표현의 구성 방법은 ‘형식적 피동’과 ‘의미적 피동’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형태 변화가 없고 서술어의 어휘적 의미와 통사적 구성 방식에 의하여 피동의 의미가 표현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반면에 한국어 피동문의 표현 방식은 크게 파생 접미사 ‘-이-, -히-, -리-, -기-’에 의한 형태적 피동표현, 용언에 ‘-아/어지다’가 결합된 통사적 피동표현, 작용성 체언과 ‘-되다, -받다, -당하다’의 결합에 의한 어휘적 피동표현 등으로 더 세분화되어 나타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어 피동표현의 효과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가지고 출발하여 우선 서론에서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선행연구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기존의 논의들을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피동표현의 유형과 제약, 그리고 중국어 피동표현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는 한국어 피동표현의 유형 외에 제약에 대한 설명이 많지 않았다. 또한 한국어 피동표현은 유형도 많고 그 쓰임이 복잡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혼동을 겪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피동표현의 제약도 함께 다루었다. 그리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피동표현 간의 대비를 통해 이들 사이에서 보이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정리해 중국어권 학습자의 적성에 맞는 한국어 피동 교육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제3장에서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중국인 학습자의 피동표현 오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에 있는 중국인 대학생과 중국 국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자들이 어떤 부분에서 오류를 자주 범하는지에 대해 총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먼저 현재 한국과 중국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교재 중에 “피동표현” 부분에 대해 분석했다. 이어서 앞의 내용을 통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제3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쓸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연구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육 방안의 효과성에 대한 검증이 없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한계이지만,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피동표현을 정확하게 쓸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한국어 피동표현에 대해 더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는 데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하여 의의를 밝힌다.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effective scenarios to teach Chinese learners the passive tense in Korean, by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ssive tense in Korean and that in Chinese, by elaborating the constraints of the passive tense in Korea...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effective scenarios to teach Chinese learners the passive tense in Korean, by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ssive tense in Korean and that in Chinese, by elaborating the constraints of the passive tense in Korean, and by analyzing the result of a questionnaire survey.
For Chinese learners, studying the passive tense in Korean is a big challenge because of the variety of the expressions of the passive tense and the complicated grammatical rules of these expressions. In Chinese, the passive meaning is expressed by passiveness in form or passiveness in meaning, instead of any grammatical change of forms, the passive meaning is just expressed with the meaning and syntax of the predicative verb. On the contrary, the expressions of passive tense in Korean can be in different ways of “-이-, -히-, -리-, -기-”, “-아/어지다”, “-되다, -받다, -당하다”, and so on. Given the complexity, the author, in the aim of researching the effective scenarios to teach Chinese learners the passive tense, revealed the methodology in the introduction chapter, and concluded the previous research in two parts.
In the second chapter, the author illustrated the forms and constraints of the passive expressions in Korea, as well as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ssive expressions in Chinese.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re are fewer instructions of constraints than the ones of forms. Moreover, the forms of the passive expressions in Korea are so complicated that Chinese learners are likely to get confused. Thus, to solve this problem, the author tried to elaborate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by comparison, and use the research outcome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Chinese learners to study the passive tense in Korean.
In the third chapter,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China and Korea, the author realized the common mistakes made by Chinese learners and came to an analytical outcome of the specific fallible elements when Chinese learners study the passive tense in Korean.
In the fourth chapter, the author analyzed the textbooks adopted in China and Korea, and proposed improvement based on his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tical outcome from the third chapter, the author designed some effective teaching scenarios for academic practice.
There is certain constraint in this thesis which is that there is no verific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teaching scenarios. However, based on the author’s knowledge and thinking, this thesis is definitely helpful, not only to those Korean learners who can study the passive tense in Korean more effectively; but also to those Korean teaching institutes, who can develop more efficient ways to teach based on the study in this thesi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