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화자들의 영어 이음 인지에 미치는 어휘성의 영향 : 영어 파열음 /p/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에서는 외국어에서 이음(allophone)의 차이를 인지하는 데 어휘성(lexicality)이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강세가 있는 모음 다음에서 유기음이 나타나고, 강세가 없는 모...

본 논문에서는 외국어에서 이음(allophone)의 차이를 인지하는 데 어휘성(lexicality)이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강세가 있는 모음 다음에서 유기음이 나타나고, 강세가 없는 모음 다음에서는 무기음이 나타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한국어 화자들이 강세 여부에 따른 영어의 무성 양순 파열음 /p/의 유기음과 무기음 실현에 대한 인지를 등급 과제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에 포함된 시료는 4개의 비단어와 16개의 단어가 사용되었다. 단어는 고빈도 단어와 저빈도 단어로 균등하게 8개씩 나누어졌다. 실험 참가자들은 7개의 선호 범위를 가지고 각 시료에 대한 인지 선호도를 매기었다(1은 좋지 못한 영어의 예, 그리고 7은 좋은 영어의 예로 매겨졌다). 비단어에서는 첫 번째 모음에 강세가 나타난 환경이 선호도가 높았지만, 강세가 나오는 환경의 적절성에 따른 이음 인지의 선호도 간의 차이가 없었다 (e.g., [ípɚ] vs. [íphɚ]). 그러나, 단어에서는 적절한 환경에서 나타난 이음이 적절하지 못한 환경에서 나타나는 이음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선호도가 매겨졌다 (e.g., [képɚ] vs. [képhɚ] ’caper’). 또한 단어의 빈도가 높은 단어에서 적절한 환경에 따른 인지의 선호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고빈도 단어에서 나타난 적절한 환경에서 조음된 이음이 저빈도 단어에서 나타난 적절한 이음보다 높게 매겨졌다. 이 결과는 제 2 언어에서도 이음의 인지는 어휘성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Whalen, Best & Irwin, 1997). 이러한 인지 패턴을 설명하는 데 원형 저장 모델(Exemplar model)이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Pierrehumbert, 2001, 2003).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allophonic contrast in the second language (L2) may require contact with the lexicon to influence the perception. Given that English medial voiceless stops occur with aspiration in stressed, but without aspiration i...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allophonic contrast in the second language (L2) may require contact with the lexicon to influence the perception. Given that English medial voiceless stops occur with aspiration in stressed, but without aspiration in unstressed syllables, Korean learners of English were tested for aspirated and unaspirated allophones of /p/ for perceptual preference in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stress contexts in the second syllable of disyllabic words. The stimuli included 4 types of non-words and 8 pairs of real words (4 pairs each for high-frequency and low-frequency words), a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judge the perceptual preference of each token on a 7-scale (1=a bad example, 7=a good exampl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tests with non-wor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ngs as a function of context appropriateness (e.g., [ípɚ] vs. [íphɚ]), with higher rankings for initially-stressed words. By contrast, in real words, participants preferred the correct allophones (e.g., [képɚ] vs. [képhɚ] ‘caper’). The frequency of real words further showed a significant effect. This finding suggests that allophony in L2 is driven by lexicality (Whalen et al., 1997). Exemplar theory (Pierrehumbert 2001, 2003) provides a more effective means of modeling this finding than do traditional approaches.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