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만성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수준 및 기능장애 수준과 심리사회학적 요인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심리사회학적 요인 평가 방법들간에 요통 특성(통증수준, 기능장애 수준)을 ...
본 연구는 만성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수준 및 기능장애 수준과 심리사회학적 요인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심리사회학적 요인 평가 방법들간에 요통 특성(통증수준, 기능장애 수준)을 설명하는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3개월 이상 만성요통을 호소하는 25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는 통증의 수준을 평가를 위하여 4항목 시각적 상사척도(quadruple visual analogue scale)와 요통의 기능장애 수준의 평가는 한국어판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Korean version of Oswestry disability Index)를 이용하였다. 심리사회학적인 요인은 운동공포(Tempa scale for Kinesiophobia-11), 공포회피반응검사(fear 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와 통증 자아효능감 설문지(Pain Self Efficacy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주요 변수는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하였다. 통증수준 및 기능장애 수준과 심리 사회학적 변수간의 점수는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이용하여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통증수준과 기능장애 수준의 심리사회학적인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분석 결과 통증 및 기능장애 수준과 심리사회학적 요인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통증과 심리사회학적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운동공포와 공포회피 반응은 양의 상관성이 나타났고, 통증 자기효능감은 음의 상관성이 확인되었다(p<.01). 기능장애 수준과 심리사회학적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운동공포와 공포회피반응은 양의 상관성이 나타났고, 통증 자기효능감은 음의 상관성이 확인되었다(p<.01). 심리사회학적 요인 중 운동공포, 공포회피반응과 통증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5). 이러한 결과는 심리사회학적 요인 중 통증 자기효능감이 통증수준과 기능장애 수준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통증이 높을수록, 공포회피반응이 높을수록 통증 자기효능감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통증 자기효능감의 평가는 임상적으로 적용이 필요함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보완하여 더욱 많은 대상자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