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치조마찰음 교육 방안 연구 : 일본어권과 영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considers learner’s mother tongue to be a decisive factor in learning foreign languages. It uses an experimental-phonetic approach to analyze and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 tongue and their influence on the pronunciation of alv...

This study considers learner’s mother tongue to be a decisive factor in learning foreign languages. It uses an experimental-phonetic approach to analyze and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 tongue and their influence on the pronunciation of alveolar fricatives in Korean by native Japanese and native English speakers. The aim of the study is to provid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Korean alveolar fricatives.
Even though both Japanese and English have the [s] sound which is equivalent to the Korean /ㅅ/, there is no [s’] sound in any of the two languages that would be equivalent to the Korean /ㅆ/.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native Japanese and native English speakers would find it difficult to learn and pronounce /ㅆ/ due to the fact that the sound does not exist in their mother tongues. However,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Korean /ㅆ/ does in fact exist in Japanese and English as an allophone. Basing on those studies, Praat was used to analyze the [s] sound and the [s’] allophone in Japanese and English.
The results proved that native Japanese and native English speakers ar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s] and [s’] in their mother tongues just as native Korean speakers distinguish between /ㅅ/ and /ㅆ/. Therefore, it could be assumed that they would also b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Korean /ㅅ/ and /ㅆ/. Yet, the allophones in Japanese and English are restricted in terms of place of articulation and their trailing phonemes. On the assumption that such restrictions would influence articulation of Korean alveolar fricatives, I analyzed their pronunciatio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native Japanese and native English speakers.
The Japanese learners made mistakes in their pronunciation of /ㅆ/ while the English learners made mistakes in their pronunciation of /ㅅ/. Therefore, it was clear that the restrictions of place of articulation and trailing phonemes of the allophones that exist in the mother tongues of the Japanese and English learners caused various mistakes in their articulation of Korean alveolar fricatives.
Phonologically speaking, the lack of the [s’] sound corresponding to /ㅆ/ should lead native Japanese and native English speakers to make mistakes in their pronunciation.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ed that such an assumption was in fact wrong. The other assumption was that native Japanese and native English speakers would distinguish between the Korean /ㅅ/ and /ㅆ/, just as native Korean speakers do, thanks to the fact that they distinguish between unvoiced alveolar fricatives and allophones in their mother tongues. Yet, this assumption proved wrong too.
The allophone related restrictions proved to be the main factor that influenced the Japanese and English learners’ pronunciation of Korean alveolar fricatives. Therefore, it is impossible not to consider mother tongue’s characteristics whe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to native Japanese and native English speakers. It is necessary to prepare separate teaching methods that take those characteristics and their influences into consideration.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come a standard that would be applied to teaching Korean alveolar fricatives to native speakers of other languages too.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 학습에 있어 학습자의 모국어를 결정적인 요인으로 보고, 실험음성학적 방법으로 일본어권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치조마찰음 발음에 나타나는 모국어의 특성...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 학습에 있어 학습자의 모국어를 결정적인 요인으로 보고, 실험음성학적 방법으로 일본어권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치조마찰음 발음에 나타나는 모국어의 특성을 분석하고 활용하여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일본어와 영어에는 한국어 치조마찰음 /ㅅ/의 발음인 [s]는 존재하나 /ㅆ/의 발음인 [s?]는 존재하지 않아 일본어권과 영어권 학습자에게는 /ㅆ/의 발음이 유표적인 자질로써 습득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일본어와 영어에 /ㅆ/의 발음이 변이음으로 존재한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일본어와 영어의 [s]와 변이음 [s?]를 Praat로 분석한 결과 한국어 모국어 화자가 /ㅅ/와 /ㅆ/를 변별하듯이 일본어와 영어 모국어 화자도 모국어의 [s]와 변이음 [s?]를 변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의 /ㅅ/와 /ㅆ/도 변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결과이나 일본어와 영어의 변이음은 위치 제약과 후행 음소에 따른 제약을 가지고 있어 한국어 치조마찰음의 발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일본어권,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치조마찰음을 분석하였다.
일본어권 학습자는 /ㅆ/의 발음에서, 영어권 학습자는 /ㅅ/의 발음에서 오류를 보여 일본어와 영어의 변이음이 가지는 위치 제약과 후행 음소의 제약으로 인한 모국어의 특성이 한국어 치조마찰음의 발음에서 다른 양상의 오류를 일으킨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당초 음운론적 관점에서 본 일본어와 영어에는 /ㅆ/의 발음인 [s?]가 존재하지 않아 /ㅆ/의 발음에서 오류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 결과와 상이하고, 음성학적 분석을 통해 확인한 한국어 모국어 화자가 /ㅅ/와 /ㅆ/를 변별하듯이 일본어와 영어 모국어 화자도 모국어의 [s]과 변이음 [s?]를 변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어 치조마찰음의 /ㅅ/와 /ㅆ/도 변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 결과와도 상이하다.
일본어권과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치조마찰음 발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변이음의 제약으로 인한 모국어의 특성으로 일본어권과 영어권 학습자의 발음 교육 시 모국어의 특성은 배제할 수 없는 중요한 요인이며, 모국어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발음 교육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타 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치조마찰음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