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의 종성 발음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 - 영어권과 일본어권을 중심으로 -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과 일본어권 학습자의 종성 발음을 분석하여 각 학습자에 맞는 종성 발음 교육 방안을 찾는 데 있다. 이는 두 언어권 학습자가 각기 다른 모국어를 가지고 있으므로 ...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과 일본어권 학습자의 종성 발음을 분석하여 각 학습자에 맞는 종성 발음 교육 방안을 찾는 데 있다. 이는 두 언어권 학습자가 각기 다른 모국어를 가지고 있으므로 한국어 종성을 발음하는 데 있어서 각각 다른 특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각 학습자에 맞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와 일본어의 자음 체계와 음절 구조 및 종성 발음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어와 대조하였다. 이러한 대조를 통하여 두 언어권 학습자가 한국어 종성 발음을 어떻게 조음할지에 대하여 예상해 보았다. 그런 다음, 실제로 영어권과 일본어권 학습자의 종성 발음을 알아보기 위해 녹음을 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내용은 일곱 가지 종성 발음을 크게 무의미 단어와 유의미 단어로 나누었다. 그리고 세부적으로 무의미 단어에서는 1음절일 때와 2음절일 때를 구분하였고, 유의미 단어에서는 어중에 위치할 때와 어말에 위치할 때를 나누어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언어권 학습자의 녹음 결과를 Praat를 통해 폐쇄지속시간을 측정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와 대조하였다. 그 결과, 영어권 학습자는 비음과 유음 종성 발음의 폐쇄지속시간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파열음 종성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영어권 학습자의 폐쇄지속시간이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길어서 생긴 현상이었다. 그러나 어중에 위치할 때 파열음 종성 발음의 폐쇄지속시간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유사하게 나타나 영어권 학습자가 어말에 위치하는 파열음 종성 발음을 한국어 모어 화자와 크게 다르게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일본어권 학습자의 경우, 파열음, 비음, 유음 종성 발음의 폐쇄지속시간이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짧았다. 특히 파열음 종성에서는 종성 발음 탈락이라는 이유로 나타난 현상이었고, 비음과 유음 종성 발음은 부정확한 발음이 원인이었다. 종성 발음 탈락 현상과 부정확한 발음의 특성을 보다 깊이 알아보기 위하여 Praat에 나타난 스크립트의 음성파형과 스펙트로그램을 시각화하여 함께 제시하였다.
영어권과 일본어권 학습자에 나타난 한국어 종성 발음의 특성을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하여 살펴본 다음, 이 두 언어권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영어권 학습자에게는 비음, 유음, 파열음 순으로, 일본어권 학습자에게는 파열음, 유음, 비음 순으로 교육할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적인 발음 교육의 모형을 보여주기 위해 ‘제시, 연습, 생성’의 단계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영어권과 일본어권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육이 이루어져 보다 정확한 한국어 발음을 구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nunciation of Korean final consonants by English and Japanese learners and search for teaching methods that are appropriate for each of the two language groups. I assumed that each of them would show distin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nunciation of Korean final consonants by English and Japanese learners and search for teaching methods that are appropriate for each of the two language groups. I assumed that each of them would show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heir pronunciation of Korean final consonants due to the influence of their mother tongu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separate teaching methods that fit each of them.
The study examines and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consonant system, syllable structure and final consonant pronunciation in English and Japanese against Korean. Through the contrastive analysis I tried to predict how English and Japanese learners would articulate Korean final consonants. Next, I recorded and analyzed pronunciation of English and Japanese learners in order to find out how they actually pronounce Korean final consonants. The test consisted of pronunciation of seven final consonants by using meaningful and meaningless words. In case of the meaningless words I distinguished between a case where the final consonant was located in the first syllable and a case where it was located in the second syllable. In case of the meaningful words I distinguished between final consonant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word and final consonants located at the end of the word. Then, I used Praat to measure closure duration of the learners of each language and compared it against native Korean speakers. The result wa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native English and the native Korean speakers was non-significant when it comes to the closure duration of pronunciation of nasal and liquid consonants, and significant in case of plosive consonants. The closure duration of the native English speakers was longer than that of the native Korean speakers. Yet, in case when the final consonant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a word the difference in the closure duration was identical to the one of the native Korean speake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ative English and native Korean speakers in pronunciation of final consonants at the end of a word.
Closure duration in pronunciation of plosive, nasal and liquid final consonants of the native Japanese speakers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native Korean speakers. The reason was deletion in case of plosive final consonants and inaccurate pronunciation in case of nasal and liquid final consonants. In order to examine deletion and inaccurate pronunciation more thoroughly I presented visualizations of speech waveform and spectrogram from the Praat scripts.
Having compared and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pronunciation of Korean final consonants by native English, native Japanese and native Korean speakers, I sought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Korean final consonants for learners from the two language groups. I proposed that native English speakers should learn Korean final consonants in the nasal-liquid-plosive order and native Japanese speakers in the plosive-liquid-nasal order. In addition, I prepared examples of real activities based on the ‘Presentation-Practice-Production’ model which can be used in teaching Korean final consonants. I hope that my study will help English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receive appropriate education and learn more accurate pronunciation of Korean sound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