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과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성별에 따른 거절 화행 비교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 화행에 대한 연구성별에 따른 차이가 고려되지 않고 이루어졌다. 그러나 한국어의 성별 언어는 국어학과 사회언어학 분야에서 꾸준히 논의되어 온 만큼 여성...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 화행에 대한 연구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고려되지 않고 이루어졌다. 그러나 한국어의 성별 언어는 국어학과 사회언어학 분야에서 꾸준히 논의되어 온 만큼 여성과 남성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화행 실현 양상을 살피고 이를 한국어 학습자 집단 중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 집단과 비교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거절 화행 실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거절 화행은 상대방의 체면을 위협할 소지가 크고 화행 실현에 있어 부담도가 높기 때문에 문법적으로 오류가 적은 고급 한국어 학습자 집단이라도 화용적 실패(pragmatic failure)를 야기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 집단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을 살펴 한국어 교육에서 화용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상황 변인인 유도 화행과 친소 관계, 권력 관계를 통해 설정한 거절 상황을 담화완성형테스트로 제시하여 거절에 사용된 전략과 표현을 수집하였다. 기존의 거절 화행 연구가 거절 전략의 실현에 초점을 맞춘 것과 달리 특정 전략 내에서 사용되는 표현의 직·간접성도 분석의 대상으로 하여 거절 화행 실현을 다각적으로 살피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본고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문제 1은 성별에 따른 거절 화행 실현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었고, 연구문제 2는 상황 변인에 따라 거절 화행 실현에 어떤 특징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었다. Ⅱ장에서는 거절 화행의 개념 및 전략과 한국어의 성별 언어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실험 참여자와 자료 수집 도구, 자료 수집의 절차와 분석 방법 등 전체 연구의 설계와 절차를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집단 변인과 상황 변인별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은 거절 화행 사용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인다. 한국어 여성 모어 화자 집단은 한국어 남성 모어 화자 집단보다 간접적이고 완곡한 거절 전략과 표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은 직접적인 거절 전략을 사용하는 경우에 간접적인 거절 표현을 통해 거절의 부담을 줄이고자 했으나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직접적인 거절 전략에서도 단정적인 표현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고급 한국어 학습자라도 거절 전략과 표현의 상호 보완적 사용은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은 변인에 따라 거절 전략의 사용이 다양한 반면에 중국인 학습자 집단은 한정된 형태의 거절 전략 사용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한국어 화용 교육의 필요성을 다시금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고급 한국어 학습자 집단도 부담이 큰 거절 상황에서는 화용적 실패를 야기할 만한 전략 사용이 나타났으며 상황 변인에 따라 맥락을 인지하고 적절한 거절을 수행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화행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성별 변인에 주목하여 화행 실현 양상을 고찰한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다. 성별에 따른 화행의 차이는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뿐만 아니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 내에서도 발견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성별을 고려한 교수 내용 선정과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ssue of gender difference related to Speech Acts has not been addressed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until now. However,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s and Social linguistics, differences exist in the gender ...

The issue of gender difference related to Speech Acts has not been addressed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until now. However,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s and Social linguistics, differences exist in the gender language of Korean language. In this study, we will look into the patterns of Speech Acts realization of Korean native speakers with reference to gender, and compare it with a group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hich consist of a majority of Chinese.
This research has placed its focus to examine the realization of the Refusal Speech Acts. Refusal Speech Acts not only bears the face-threatening act towards the opposite party, but also have a high burden degree. Due to these qualities,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will likely face pragmatic failure even if they make few grammatical mistak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zation of the Refusal Speech Acts of Advanced Chinese Korean learners, and to determine the need of Pragmatics in Korean education.
This study collected the strategies and expressions used in refusal by presenting the situational variables of induction Speech Acts, intimacy relations, power relations through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 By analyzing the direct and indirect expressions used in specific strategies from multiple side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existing research of Refusal Speech Acts, which only focuses on the realization of refusal strategies.
The organiz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aim and purpose of this study will be described, and by considering the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this study, 2 main research questions are developed.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o see if there is difference in the realization of Refusal Speech Acts in reference to gende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to analyze if there is any difference and characteristic in the realization of Refusal Speech Acts according to each situational variable. In Chapter 2, Refusal Speech Acts concepts and strategies,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Korean gender language is introduced. In Chapter 3, the overall research plan and progress which includes the test participants, tool for data collection, process, methodology for analysis and others are described. In Chapter 4,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p variables and situations. Lastly in Chapter 5, the research results are combin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is obtained.
Firstly,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found in Korean native speakers in the use of Refusal Speech Act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Korean female native speakers prefer the indirect and euphemistic refuse strategies compared to Korean male native speakers. Secondly, when Korean native speakers used direct refuse strategies, they lessen the burden through indirect refusal expression. But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Chinese learners, a majority of them used assertive expressions in direct refuse strategies. We can see that even Advanced Korean learners face difficulties in the complementary use of refuse strategies and expressions. Furthermore, Korean native speakers used a variety of refuse strategi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compared to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s their usage of refuse strategies are limi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once again confirmed the need for the recently emerging Korean pragmatics education. In high burden refusal situations, even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used strategies which might cause pragmatic failure, and they faced limitations when using the appropriate refusal act after recognizing the context according to situational variables. Additio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by focusing on the gender variable which wa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existing studies on Speech Acts, and by examining the Speech Acts realization patterns. Gender difference in Speech Acts is not only discovered in Korean native speakers, but also in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will be able to bring up the need to consider gender for the selection of pedagogical content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