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chman 질병과정 모형에 따른 일부 결혼이주여성의 질병행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Recently, South Korea has been seeing a rise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major driving force is the migration of foreign women to Korea for marriage. Thes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however, have been ed as having a lower health...

Recently, South Korea has been seeing a rise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major driving force is the migration of foreign women to Korea for marriage. Thes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however, have been ed as having a lower health status after marriage and immigration than prior to. Although the health of these women affects the children and the family as a whole, the study of disease management for these migrant women is insufficient.
This study, through conducting a one-on-one interview with 10 migrant women, collects the differences in their health statuses before and after immigration following the Suchman Inquiry Model. The information is then scrutinized for the causes of these differences. such as health hazards or treatment insufficiency.
The subjects were relieved of their responsibilities and taken good care of once it was recognized by their families that they had fallen ill however, after immigration even though the change in diet, setting, and culture had caused illness within the subjects,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find relief from their responsibilities. Prior to immigration, the usage of hospitals was limited due to expenses, difficult approximation, lack or poor medicinal facilities, etc. After immigration, the limitations were racial discrimination,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lack of medicinal information and difficult approximation for rural areas, etc. Even after learning a good amount of Korean, obstacles in understanding the medicinal terminology remained. In addition,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are not guaranteed sufficient recovery within their families and also the strain they feel retaining a healthy lifestyle shows low marks.
This study, conducted with 10 subjects, can be considered to be of high quality. Despite the limitations it has from the subject's intervention of subjectivity, the study provides detailed analysis and clearly uncovers the problems of the subjects' healthcare status, thus standing as reliable baseline datum.
To provide solutions to the uncovered problems, the government must provide education for the migrant wives and also their spouses on medicine and human rights and ensure that quick treatments can be provided. Not only that, but also medical workers must also be provided with educa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so that problematic discrimination can be resolved. In addition, supportive systems such as nursing and child support for migrant females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the females that fall ill may be guaranteed sufficient recovery and given information on how to prevent illness from happening.
Most importantly, as disease management is crucial to a sustainable life, migrant women should be given thorough education to increase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or should be provided with a translator for difficult medical terms.
Along with these multi-cultural policies, multi-dimensional business plans are needed, such as medical translation education, for turning these migrant females into professional manpower.

최근 우리나라는 다문화가정이 증가추세에 있으며 이는 대부분 결혼이주여성의 유입에 의한 것이다. 결혼이주여성들은 이주 전보다 이주 후 건강이 악화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결혼...

최근 우리나라는 다문화가정이 증가추세에 있으며 이는 대부분 결혼이주여성의 유입에 의한 것이다. 결혼이주여성들은 이주 전보다 이주 후 건강이 악화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결혼이주여성의 질병관리는 자녀 등 다문화가정 전체에 영향력을 고려할 때 중요한 사안이 아닐 수 없지만 그들의 질병행태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10명의 결혼이주여성들의 일대일 심층면접을 통하여 이주 전·후의 질병행태의 차이를 Suchman 단계에 따라 조사한 후 그 의미를 분석하여 이주 전·후 건강위험요인 및 치료 장애 요인과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들은 이주 전 증상경험 및 환자 역할 인정 단계에 있어서는 본국 가족의 충분한 이해아래 역할면제 및 보살핌을 받았지만 이주 후에는 기후, 음식과 같은 문화, 환경적 차이로 인한 증상발현이 빈번함에도 불구하고 가정 내 역할 면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병원이용 시에는 이주 전에는 의료비용 및 접근성, 의료시설 및 서비스 낙후 등의 장애요인이 있었으며 이주 후에는 차별경험, 의사소통 장애, 의료정보 부족, 농촌지역 거주자의 의료접근성 장애 등이 치료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특히 한국어 습득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후에도 의료용어와 같은 전문용어에 대한 의사소통 장애는 잔존하고 있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들은 가정 내에서 충분한 회복에 관한 보장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건강생활실천 욕구도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10명을 대상자로 한 질적 연구로 일반화의 한계 및 연구자의 주관개입 등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질병행태에 대한 자세한 분석 및 문제점 제시를 통하여 결혼이주여서의 질병행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지니고 있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부는 이주자 및 그들의 배우자에 대한 의료와 인권교육 강화로 증상발현 시 조기진료가 가능하게 해야
하며 국내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교육 실시로 진료 시 이주민에 대한 차별 및 사생활침해 등의 요인을 제거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이주여성들의 간병 및 육아지원과 같은 지지체계를 강화하여 질병발생시 충분한 회복을 보장하고 건강생활실천의 필요성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여 질병예방에 힘써야 한다.
무엇보다는 질병관리는 인간의 생명과 직결된 사항이니 만큼 결혼이주여성의 기본적인 진료권 보장을 위한 건강정보 문해능력 향상 교육기회 제공 및 전문적 진료 시 필요한 의료통역 활성화 정책은 필수적이다.
더불어 의료통역교육 과정과 같은 결혼이주여성의 전문 인력화를 위한 다문화정책의 다차원적인 사업 구상이 필요하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