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보조사 교육 방안 : ‘까지, 조차, 마저’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조사 중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에 대한 교육 방안이다. 현대 한국어에서 ‘까지, 조차, 마저’는 매우 활발하게 사용되는 보조사들이...

본 연구는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조사 중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에 대한 교육 방안이다. 현대 한국어에서 ‘까지, 조차, 마저’는 매우 활발하게 사용되는 보조사들이고 모국어 화자들은 이들 특수조사의 기능과 의미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 외국인 학습자들은 구별해서 사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특성에 대한 고찰 및 교육 방안을 필요 한다.
제Ⅱ장에서는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대화를 통해 이들 보조사를 어떤 상황에서 발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예문에서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를 추출하여 부석하였다.
제Ⅲ장에서는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통사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는 명사나 명사구, 부사어, 어미 등에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보조사에 따라 결합하는 선후행 요소에는 경향성이 있는데, ‘까지’는 ‘조차, 마저’에 비해 사용 영역이 넓은 만큼 다양한 선후행 요소와 결합하는 양상을 보인다.
제Ⅳ에서는 중급한국어 학습자들한테 ‘까지, 조차, 마저’의 차이를 이해하고 대화할 때 정확하게 발화할 수 있도록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방안은‘도입(Warm up)→제시(Presentation)→연습(Practice)→사용(Use)’ 의 4단계로 하여 제시해 보았다. 이를 통해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변별적인 차이점을 부각시켜, 한국어학습자들에게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고 학습자들이 수업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고 더 쉽게 배울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auxiliary particles ‘kkaji, jocha, majeo’ for Foreigners learners. Auxiliary particle in Korean language is a common grammatical usage both in spoken and written Korean. Auxiliary particl...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auxiliary particles ‘kkaji, jocha, majeo’ for Foreigners learners. Auxiliary particle in Korean language is a common grammatical usage both in spoken and written Korean. Auxiliary particles‘kkaji, jocha, majeo’ possess the variety of semantic meanings but they have the similarity of meanings related to‘inclusion’. When they be used in the same environment due to such partial similarity, they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It has no auxiliary particle in foreign?language, and auxiliary particles‘kkaji, jocha, majeo’ are translated into foreigners by the same meaning, so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in the foreign?language to learn and use them. To solve this difficulty,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property of auxiliary particle.
In chapter 2, I looked through semantic of auxiliary particle ‘kkaji, jocha, majeo’. In order to explore the syntactic of Korean particle and identify in which situation Korean particle ‘kkaji, jocha, majeo’ were extracted from a example.
In chapter 3, I looked syntactic characteristics auxiliary particle ‘kkaji, jocha, majeo’. It is known that auxiliary particles ‘kkaji, jocha, majeo’ can dombine with noun, noun phrase, adverbial phrase, ending, etc. However, a combining constituent depends on individual particles which have a tendency. 'kkaji' can combine with diverse constituents as compared to ‘jocha, majeo’ due to it's broad semantic domain.
In Chapter Ⅳ provides a concrete model for learning that helps Korean language learners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the meaning and usage of ‘kkaji, jocha, majeo’. This study has its limit in that the midel is presented for stages of 'Warm up→ Presentation→ Practice→Use' only and excludes the stages of use and completion. It will be necessary to present a more for teaching through consistent studies in the future.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