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치사 대조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trast the forms and the functions of adpositions in Korean and Chinese. The adposition is the word class which is associated with nouns or noun phrases and represents basically their roles in the sentence. In Korea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trast the forms and the functions of adpositions in Korean and Chinese. The adposition is the word class which is associated with nouns or noun phrases and represents basically their roles in the sentence. In Korean, an OV-language, the postposition is developed, whereas in Chinese, a VO- language, the preposition is developed. Circumpositions are also found in Chinese.
In the form of the adposition we find three categories: zero form, simple form and complex form. The complex form has again five subclasses, namel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simple words, the circumposition, the combination of an N-adposition and a V-adposition, the combination of simple adpositions and simple forms derived from complex ones. In Korean the circumposition is not found, whereas it is not seldom found in Chinese. It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Korean to use N-adpositions for the various locative expressions. In Chinese the N- adposition is not found. The basic function of the adposition is to mark the role of related nouns. But it has also other grammatical, semantic and pragmatic functions. In Korean, a adposition-rich language, all of these functions can be observed, while in Chinese they are very restricted.
The case postpositions in Korean are basically realized as corresponding prepositions in Chinese.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 nominative and the accusative case marker(-이/-가, -을/-를) of Korean correspond to zero form in Chinese, because in this language the two cases are represented by the position. It is to note that the accusative case is sometimes expressed by the preposition ba(把) in Chinese. We find the vocative case marker in both languages. In Korean it is basically obligatory, whereas in Chinese it is optional. The complement case marker(-이) in Korean is not expressed in Chinese. The copula(-이다) is classified as postposition in the Korean standard grammar, while shi(是) is classified as transitive verb by Chinese grammarians. Beside the case markers there are also secondary postpositions in Korean which has mainly adverbial or pragmatic functions. In Chinese they are realized in three ways: 1) no corresponding form, 2) preposition, 3) adverb, 4) conjunction. The conjunctive postpositions of Korean are expressed by the related conjunctions in Chinese.
It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Korean that more than one adposition can be associated with a single noun or noun phrase which is not usual in Chinese. In Chinese we should find some other ways to express these structures of Korean. In case of combination of case markers only the lexical case markers are realized in Chinese, but not the structural ones. If case markers combine with secondary postpositions, the first ones are expressed by the corresponding prepositions or by the word order and the latter ones by the related adverbs, intonations or some other means. The combination between the secondary postpositions are expressed in Chinese by the corresponding forms. They can be a preposition, an adverb or a zero form.

연구는 부치사의 유형론적인 특징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중 부치사, 즉 조사와 개사를 대조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5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제1장 서론에 이어 제2장...

본 연구는 부치사의 유형론적인 특징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중 부치사, 즉 조사와 개사를 대조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5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제1장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전체적으로 부치사의 형식 및 기능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중 두 언어 조사와 개사의 형식 및 기능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대조하였다. 제4장에서는 대조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고 연구의 부족함과 한·중 부치사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중 두 언어 모두 부치사의 범주가 있다. 한국어에서는 이를 조사라고 부르고 중국어에서는 이를 개사라고 부른다. 부치사는 명사가 붙어서 그 말에 다른 말의 문법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특별한 뜻을 도와주는 품사를 말한다. 명사 사이의 문법적 관계도 일종의 핵어와 의존어 사이의 어순을 한결같이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핵어인 서술어와 의존어인 목적어의 어순이 SOV인 경우, 즉 핵어후치형(head-final) 언어의 경우 후치사(postposition)가 선호되고, 반대로 SVO처럼 의존어가 핵어의 뒤에 오는 핵어전치형(head-initial) 언어의 경우 전치사가 선호된다. 중국어는 SVO언어 때문에 전치사형 언어이며 중국어의 개사는 전치사와 같은 성격의 문법범주이다. 한국어는 SOV언어 때문에 후치사형 언어이며 한국어의 조사는 후치사와 같은 성격의 문법범주이다. 부치사에는 이밖에도 하나의 명사를 앞 뒤에서 둘러싸는 환치사가 있는데 중국어에는 이 환치사가 자주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부치사의 형식은 또 양적으로 무표지형, 단일형과 복수표지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두 가지 형식은 한?중 두 언어에서 모두 나타난다. 복수표지형은 부치사가 두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경우, 환치사, 명사부치사와 부치사의 결합 구조, 개별 부치사의 결합 구조 그리고 복수표지형에서 유래한 단일표지형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한국어의 경우 환치사는 관찰되지 않은 데 비해 중국어에서는 환치사가 자주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어에서는 장소를 나타내는 조사 표현에서 명사 부치사가 많이 나타나는데 비해 중국어는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다.
부치사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명사의 격을 표시하는 것인데, 부치사는 이밖에도 문법적, 의미적, 화용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국어의 특징은 조사가 아주 잘 발달되어 있다는 것이며 이 조사들은 격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중국어의 개사도 기본적으로 격기능을 하며 이밖에 문법적 기능 등을 수행하고 있으나 한국어의 조사보다는 그 기능이 제한적이다.
한국어의 격조사는 대개 중국어의 개사로 표현되는데 몇 가지 차이가 있다. 주격조사와 목적격 조사는 중국어에서 일차적으로 어순으로 표현되며 특별한 표지가 없다. 다만 목적격 조사의 경우 개사 ‘把’를 써서 표현할 수 있다. 호격조사의 경우 한국어에서는 거의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중국어에서는 수의적인 측면이 강하다. 보격 조사도 역시 중국어에서 특별한 표지로 나타나지 않는다. 서술격 조사 ‘-이다’는 중국어에서 ‘是’로 표현되는데 중국어에서는 이를 개사로 보지 않고 일반 타동사와 같이 ‘명사 / 동사 / 명사’의 구조를 갖는 부류의 동사로 간주한다. 한국어 보조사에 대한 중국어 대응표현은 1) 대응 형태가 없는 경우, 2) 개사로 나타나는 경우, 3) 부사로 나타나는 경우, 4) 상관연사로 나타나는 경우 등 4 가지로 나누어진다. 접속조사에 대응되는 것으로는 중국어에는 연사가 있다.
한국어의 조사는 여러 개를 한꺼번에 겹쳐서 쓸 수 있는 것이 특징인데 중국어에서 개사는 겹쳐서 쓰는 경우가 거의 없다. 한국어 조사의 결합구조는 중국어에서 다른 방법으로 표현해야 한다. 구조격 조사와 어휘격 조사가 결합할 때는 중국어에서 어휘격 조사만 표현되고 구조격 조사는 표현되지 않는다. 보조사와 격조사가 결합할 경우 격조사는 중국어의 해당 개사로 표현되며 보조사는 무표지로 나타날 수도 있고 부사 등 다른 방법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한국어 보조사들 사이의 결합구조를 중국어로 표현할 때는 각각의 보조사의 의미에 따라 대응표현을 써야 한다. 이때 한국어의 보조사는 중국어에서 개사로 나타날 수도 있고 부사로 나타날 수도 있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