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베트남 어의 수 분류사 대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분류사는 명사가 지시하는 사물을 언어 사용자의 세계 인식의 기준에 따라 일정하게 범주화하는 언어 형태이다. 분류사는 매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는데 한국어와 베트남 어는 수 분류...

분류사는 명사가 지시하는 사물을 언어 사용자의 세계 인식의 기준에 따라 일정하게 범주화하는 언어 형태이다. 분류사는 매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는데 한국어와 베트남 어는 수 분류사 유형에 속한다. 본고에서는한국어와 베트남 어에 나타나는 수 분류사의 의미를 분석하여 두 언어의 명사 부류화 체계를 대조하는 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2장에서는 우선 기존의 유형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분류사를 명사 부류, 동사 분류사, 처소 분류사, 지시 분류사, 소유 분류사, 명사 분류사, 수 분류사로 구분한 후 각 분류사 유형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수 분류사는 수량 표현의 한 구성 요소로서 결합하는 명사를 셀 수 있게 해 주는 수량화 기능을 지니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량화 기능에만 주목하여 논의가 진행되어 왔었다. 그러나 수 분류사는 명사 지시물을 의미 자질에 따라 분류하는 부류화 기능도 지니고 있다. 2장 1절에서는 부류화 기능이 수 분류사의 핵심 기능이라는 점을 논의하였고 부류화 기능의 유무에 따라 수 분류사와 단위 명사를 구분해야 됨을 주장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 어에서 나타나는 수 분류사의 통사적인 특징을 대조하였다. 통사적으로 한국어는 ‘명사/수사/수 분류사’ 유형과 ‘의’가 첨가된 ‘수사/수 분류사/의/명사’ 유형이 병존하고 베트남 어는 ‘수사/수 분류사/명사’ 유형으로 고정되어 있음을 밝히었다. 또한 베트남 어에는 수량사 없이 수 분류사와 명사만으로 구성된 명사구가 존재하는데 이는 수량화 기능보다 부류화 기능이 더 강조되는 것임을 논의하였다.
4장에서는 유형론적 연구에서 의미적 속성에 따라 분류사를 하위 유형화하는 기준을 살펴보았는데 [인간성], [동물성], [식물성], [형상성], [기능성]의 범주로 하위 구분됨을 논의하였다.
5장에서는 구체적으로 실현된 언어 자료를 통해서 양국의 언어 화자가 세계 사물을 인지하고 부류화하는 양상을 분석하고 대조하였다. 이를 위해한국어와 베트남 어의 말뭉치 자료를 조사하여 수 분류사의 주요 항목을 목록으로 작성하고 이들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한국어와 베트남 어에서 [인간성] 수 분류사는 모어 화자가 [인간성]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는 명사류와만 호응하였고 [동물성] 수 분류사는 ‘마리’와 ‘con’이 인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동물과 호응하였다. [식물성] 수 분류사는 [인간성]이나 [동물성] 수 분류사와는 다른 독립적인 영역을 차지하는데 모든 식물을 하나의 범주로 묶는 수 분류사는 없으며 모양에 따른 형상적 자질이나 식용가능성과 같은 문화적인 양상에 따라 달리 적용되었다. [형상성] 수 분류사는 결합하는 명사 지시물의 모양과 그 모양의 어느 면에 더 주목하는가에 따라 [1차원], [2차원], [3차원]으로 구분되었다. [기능성] 수 분류사는 문화의존성이 높기 때문에 언어에 따라 그 양상이 크게 달라지는 특징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포괄] 수 분류사에 대해 논의하였는데 [1 ․ 2 ․ 3차원]의 [형상성] 수 분류사 그리고 [기능성] 수 분류사와 대체되어 쓰일 수 있는 한국어 ‘개(個)’와 베트남 어 ‘cái’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는 한국어와 베트남 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수 분류사의 의미 범주화 체계를 총체적으로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러나 연구자 역량의 한계로 연구 범위를 [/개체]에 해당하는 수 분류사로 한정하였다. [-개체]와 [사태]에 해당하는 수 분류사 대조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 둔다.

A classifier is a language form that regularly categorizes objects indicated by nouns based on the criterion of the language user's perception of the world. Classifiers appear in a various types and Korean and Vietnamese languages entail numeral class...

A classifier is a language form that regularly categorizes objects indicated by nouns based on the criterion of the language user's perception of the world. Classifiers appear in a various types and Korean and Vietnamese languages entail numeral classifiers.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meaning of numeral classifiers in Korean and Vietnamese and on contrasting the construction of noun classification in these two languages.
In chapter 2, I reviewed the concept and features of classifiers based on the typological method. I found that classifiers are categorized into noun classes, verbal classifiers, locative classifiers, deictic classifiers, genitive classifiers, noun classifiers, and numeral classifiers.
Numeral classifiers have a quantification function to make count nouns that combine with numeral classifiers in quantification phrases. Earlier studies have focused only on this quantification function. However, numeral classifiers also have a classification function to categorize the nominal referents depending on semantic properties. I discussed that the classification function is a core function of numeral classifiers and numeral classifiers and unit words should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the classification function.
In chapter 3, I contrasted syntactic features between the Korean and Vietnamese languages. Syntactically, the type of ‘noun/numeral/numeral classifier’ and the type of ‘numeral/numeral classifier/Eui/noun’ coexist in Korean. However, Vietnamese is fixed into ‘numeral/numeral classifier
/noun’. Also, there are noun phrases composed of a numeral classifier and noun without a numeral in Vietnamese, which emphasizes the classification function more than the quantification function.
In chapter 4, I reviewed the semantic parameters used as the basis for the system and how they are manipulated to form categories. Numeral classifier system categorizes nominal referents based on the criteria of semantic properties. The criteria fall into five categories: [human], [animal], [plant], [shape], [function].
In chapter 5, I analyzed and contrasted the aspects of recognizing and classifying objects in the world between speakers in both countries through a corpus. For this, I researched the corpus in the Korean and Vietnamese languages and listed the main items of numeral classifiers and then analyzed their meanings.
Numeral classifiers of [human] in Korean and Vietnamese combine with nouns that native speakers consider to have features of [human]. With regard to numeral classifiers of [animal], ‘mari’ and ‘con’ combine with most animals except human. Numeral classifiers of [plant] occupy an independent area different from [human] and [animal] and it does not have numeral classifiers to categorize all vegetation into one. They are applied depending on shape and cultural aspects such as edibility. The numeral classifiers of [shape] are divided into [1-D], [2-D], [3-D] according to the shape and according as the speaker focused on which side of the shape. Numeral classifiers of [function] are heavily dependent on culture, so they are varied according to the language. Finally, ‘gae(個)’ in Korean and ‘cái’ in Vietnamese can replace numeral classifiers of [shape] and numeral classifiers of [function]. For this reason, ‘gae(個)’ and ‘cái’ are called ‘generic classifiers’.
This research aimed to comprehensively shed light on the semantic categorization system of numeral classifiers that appear both in the Korean and Vietnamese languages. However, because of limitations in the researcher's capacity, the research range was limited to numeral classifiers combine with the [/individual object]. The contrast between numeral classifiers combine with the [-individual object] and [situation] will be left as questions for further investigation.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