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몽골의 산림정책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Mongolia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forest policy, in case that Korean forest policy is introduced to Mongolia. So,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Korean and Mongolian forest policy,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Mongolia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forest policy, in case that Korean forest policy is introduced to Mongolia. So,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Korean and Mongolian forest policy,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civil servants in Forestry Department of Mongolia.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Korean forest policy which is available to be introduced to Mongolia and its priority are as follows:
Forestry policy in Korea is more various than that of Mongolia. Many policies are different because of their different forest possession systems, geographical feature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As for forest resources policy and forest utilization policy, the main focus of Korea has been changed from afforestation to public welfare and service. But Mongolia is much more interested in afforestation and reforestation. In Mongolia, they have large areas of forest, but they lack timber production infra and technology and have almost nothing in the field of welfare and service policy. Korea has many technological forest protection policies. But, Mongolia doesn't have enough manpower and technology for preventing forests from a forest fire, disease and pest, and illegal logging. Also, Korea has been carrying out a variety of forest overseas cooperation policy more than Mongolia. As for the use of budget, Korea uses the largest part of the budget for forest resources (36.5%) and forest conservancy (28.6%). And Mongolia spends the largest part of the budget for forest conservancy (43.7%) and forest resources (40.8%).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is, a large part of the budget is used for forest resources and forest conservancy area. But as for Korea, an erosion control project is of great importance because the damage caused by a landslide and a localized heavy rain is serious in Korea. But as for Mongolia, forest fire, disease and pest, and illegal logging take a toll to the country, so protection and restoration from them take the largest part of their policies.
When the survey about the importance of the policy which was planning to be introduced to Mongolia was carried out, targeting civil servants in Forestry Department of Mongolia,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and age groups. Forestry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which takes charge of practical things (by institute and agency), and researchers (by position) have the highest awareness of the policy importance. Researchers usually take charge of brand-new and more specialized works, so they might have more advanced awareness of the existing problems and its solutions than other civil servants. People who have worked for over 10 to under 15 years had the highest, and those who have worked for over 20 years had the lowest in every field but forest resources policy. People who have worked for over 10 to under 15 years have more positive view of new policies. In Korea,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eople who have trained in forestry education and people who have not. Perhaps they have educated a little about forest policy.
Among every field of forest policy, forest resource policy is the most important part (86.37). As for the importance of specific policies, forest restoration (9.03), afforestation (9.0), forest fire extinguishment (8.97), forest fire prevention (8.94) were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vitalization of forest for the natural burial (6.11), landslide damage prevention (5.26) were the lowest.
Therefor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forest policy of Mongolia in 2020∼2030, if they introduce Korean forest policy, the first priority will be forest restoration, afforestation, and forest tending works. And other things, such as enlargement of support of AFoCO, promotion of forest biomass, build-up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 vitalization of forest for the natural burial, construction of forest healing infrastructure, family-friendly recreation service, creation of pleasant and healthy forest trail, and landslide damage prevention, will be followed.

한국몽골의 산림정책을 비교분석하고, 한국 산림정책몽골에 도입할 경우에 몽골산림분야 공무원의 중요도 인식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몽골산림정책에 도입가능한 한국 산...

한국과 몽골의 산림정책을 비교분석하고, 한국 산림정책을 몽골에 도입할 경우에 몽골산림분야 공무원의 중요도 인식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몽골산림정책에 도입가능한 한국 산림정책과 정책별 도입우선순위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산림정책은 몽골 산림정책보다 다양하였다. 대부분의 정책은 양국의 산림소유 제도, 지리적 특징, 사회, 경제, 문화로 인하여 많은 차이가 있었다.
한국의 산림자원 정책과 이용정책은 녹화 중심에서 복지, 서비스 부문으로 관심이 옮겨갔으나 몽골은 아직까지 조림과 산림 복구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몽골의 산림이용정책의 경우 산림면적은 크지만 목재 생산기반과 기술이 부족하고 복지, 서비스 정책이 거의 없었다. 산림보호정책에서 한국은 발전된 기술을 사용한 정책들이 많으나 몽골은 산불, 병해충, 도벌로부터 산림을 보호하기에 인력 및 기술이 부족한 상태이다. 해외협력정책에서 한국은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국제 협력 정책을 실행하고 있는데 반해 몽골은 해외협력정책의 수가 비교적 적었다. 한국과 몽골의 부문별 예산 비율을 보면 한국은 산림자원(36.5%)과 산림보호(28.6%)분야에 가장 많은 예산이 편성되어 있고 몽골도 산림보호(43.7%)와 산림자원(40.8%)분야에 가장 많은 예산이 편성되어 있었다. 두 나라 모두 산림자원과 산림보호 분야에 편성되어있는 예산의 비중은 높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한국은 산사태 및 집중 호우로 인한 피해가 많기 때문에 사방 사업의 비중이 크지만 몽골은 산불, 병해충, 도벌로 인한 피해가 대부분이므로 이에 대한 보호, 복구사업의 비중이 컸다. 산림이용에 관한 예산은 한국이 전체 예산중에서 24.8%를 차지하는 반면 몽골은 1.8%로 매우 적다.
몽골 산림분야 공무원 대상으로 한 한국에서 몽골에 도입할 경우의 정책 중요도에 대한 조사결과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기관별로는 실무적인 부분을 수행하는 임업연구개발소의 중요도 인식이 가장 높았다. 직책별로는 연구원들의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연구원들은 산림에 관한 새롭고 보다 전문적인 연구를 시행하는 업무를 하기 때문에 현재의 문제인식과 이를 위한 해결방안에 대하여 다른 공무원에 비하여 더 앞선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근무연수에 따라 10년 이상 ∼ 15년 미만의 중요도 인식이 가장 높았고 산림자원정책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서 20년 이상 근무자의 중요도 인식이 가장 낮았다. 10년 이상 ∼ 15년 미만 근무한 자들이 새로운 정책을 받아들이는데 보다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 산림교육을 받은 그룹과 받지 않은 그룹의 중요도 인식 차이는 없었다. 이는 교육 내용 중에 한국 산림 정책에 관한 교육이 적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산림정책부문별 중요도는 산림자원정책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었다. 세부정책별 중요도는 산림복원정책(9.03), 조림정책(9.0), 산불진화정책(8.97), 신불예방정책(8.94)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었으며 수목장림 활성화정책(6.11), 산사태예방정책(5.26)이 가장 낮은 중요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와 2020∼2030년도에 시행할 몽골 산림정책목표에 따라 한국산림정책이 도입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우선순위로 산림복원, 조림, 숲가꾸기 등 정책이며 후 순위 정책으로는 AFoCO 지원 및 확대, 산림바이오매스활용 촉진, 도시숲 조성·관리, 수목장림 활성화, 산림치유 인프라 구축, 가족친화적인 산림휴양서비스, 쾌적한 숲길 환경 조성, 산사태예방 정책이라 판단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