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y analogous synaesthetic elements in spoken languages that appear in the two countries under consideration. For this, Korean and Japanese youth were guided to similar visualized spoken language and the resul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y analogous synaesthetic elements in spoken languages that appear in the two countries under consideration. For this, Korean and Japanese youth were guided to similar visualized spoken language and the result has been compared and analyzed.
Furthermore, the causes of synaesthetic phenomena that are seen in the two countries were studied by theories borrowed contrastive linguistics and various
other advanced researches. Ramachandran & Hubbard(2003)'s previous research
on the Bouba/kiki effect shows sharp image and circular shaped image to distinguish which one is Bouba and which one is Kiki. He ed that 95~98% of participants answered the sharp image to be Kiki and the circular image Bouba. This experiment shows that human beings are able extract abstract attributes from any shape or sound. The study is organiz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a synaesthetic experimenta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about pronunciations that are difficult to interpret. The experimental voices were from five Indo-European languages, namely, French, German, Portuguese, Russian and Swedish. Koreans and Japanese with remarkably little learning experience of Indo-European languages were let to hear recorded dialogues of identical meanings translated into the languages. Randomly selected 18 geometrical figures (such as Cuboid, Cube, Tube, Cylinder, Pyramid, Torus,Sphere, Torus Knot, Hedra, Cone, Square, Circle, Triangle, Lightning, Hexagon, Pentagon, Star, Cloud) of 13 colors were used as the survey selection items and C. Osgood’s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as applied.
Second, each participant from the two countries were made to hear randomly created meaningless imaginary vocal words such as ‘Haisset’ and‘Mongboru’ to guide them for synaesthetic association. Unlike the first survey, participants were let to hear words whose pronunciations are well recognized by the Koreans and Japanese and a similar random survey was conducted.
Third, another survey similar to the second one but consisting of only visualization language that guides for synaesthetic association without the
vocal words ‘Haisset’ and ‘Mongboru’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spoken language and visualization language.
Fourth, sample images creat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third survey were shown to the participants to categorize them into ‘Haisset’ or ‘Mongboru’ as a correlation investigation test.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milar spoken-language features observed about Indo-European languages among the Korean and Japanese participants. Besides, there was no synaesthetic association between spoken-language and visualization languages. However, both the Koreans and Japanese had similar synaesthesia about the two random vocal words ‘Haisset’ or ‘Mongboru’. As to the color sets, a prominent difference was observed on the color association of ‘Haisset’. This is apparently because Japanese are influenced by some synaesthetic idioms existing only in Japan.
This study examined spoken-language and synaesthetic association using universal principle of natural language and proved the existence of synaesthetic image holding identical relationship that transcends nationality inside spoken-language. It also tri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new field of application through synaesthetic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 of combined linguistic and visual arts.
본 연구는 음악이 아닌 특정 음성언어에서 국가별로 유사하게 나타나는 공감각적인 요소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인과 일본인에 게 같은 음성언어에 대한 시...
본 연구는 음악이 아닌 특정 음성언어에서 국가별로 유사하게 나타나는 공감각적인 요소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인과 일본인에 게 같은 음성언어에 대한 시각화를 유도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대조언어학(對照言語學)과 다양한 선행연구의 이론을 차용하여 국가별 음성언어에 대해 나타나는 공감각 현상의 원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선행연구인 Bouba/kiki effect는 Ramachandran & Hubbard(2003)가 날카로운 형태와 둥근 모양의 이미지를 보여주면서 어느 것이 ‘bouba’이고 어느 것이 ‘kiki’인지를 묻는 실험으로 피험 자의 95~98%가 날카로운 형태를 ‘kiki’, 둥근 이미지가 ‘bouba’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인간은 어떻게든 형태나 소리로부터 추상적인 속성을 추출해 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실험이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졌다.
먼저, 해석 불가능한 발음에 대한 공감각 실험조사가 진행되었다. 실험음성은 프랑스어, 독일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스웨덴어로 이루어진 5가지 인도유럽어였다. 인도유럽어에 대한 학습경험이 현저히 적은 한국인과 일본인을 대상으로 동일한 의미로 번역된 대화문을 녹음하여 들려주었다. 설문지의 선택 항목은 무작위로 선택한 18가지의 기하학 도형(Cuboid, Cube, Tube, Cylinder, Pyramid, Torus, Sphere, Torus Knot, Hedra, Cone, Square, Circle, Triangle, Lightning, Hexagon, Pentagon, Star, Cloud)과 13가지의 색상, 그리고 찰스 오스굿(C. Osgood)의 ‘의미분별 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을 사용하였다.
두 번째는, 임의로 창작한 가상의 무의미한 단어 ‘하이셋’과 ‘몽보르’라는 음성언어를 국가별로 각각 들려주고 이것에 대한 공감각적인 연상을 유도하였다. 첫 번째 설문과는 다르게 한국인과 일본인이 인지(認知) 가능한 발음을 가진 단어를 들려주었고 이것에 대한 설문조사의 형식은 첫 번째 설문조사와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세 번째는, 음성언어와 시각언어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두 번째 설문조사와 방식은 일맥상통하나 ‘하이셋’과 ‘몽보르’를 음성이 아닌 시각언어로만 보여주고 공감각적인 연상을 유도하는 설문을 진행하였다.
네 번째는, 세 번째 설문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제작한 표본 이미지를 피험자들에게 보여주며 어느 것이 ‘하이셋’이고 어느 것이 ‘몽보르’인지 고르게 하는 연관성 검증조사가 이루어졌다.
설문조사 결과, 한국인과 일본인이 인도유럽어의 음성언어에 대해 보이는 특징적인 유사성은 없었으며, 음성언어와 시각언어 사이에도 공감각적인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임의의 두 음성언어 ‘하이셋’과 ‘몽보르’에 대해 한·일 양국인은 공감각적인 유사성을 가지고 있었다. 색상의 경우에는 ‘하이셋’의 색상연상에서만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일본인들이 일본에만 존재하는 공감각적 관용구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자연언어의 보편 원리를 통한 음성언어와 공감각의 연관성을 고찰하였으며, 음성언어에는 국가를 초월하는 유사한 관계성을 가진 공감각적인 이미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또한 언어학을 시각예술과 결합한 공감각적이고 다학문적(multidisciplinary)인 접근 방식을 통해 새로운 응용분야로의 가능성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