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제는 시간과 동작의 변동을 구분하는 문법형태소로, 발화시와 동작시의 시간적 차이를 나타내는 시제를 적절히 이해하고 표현할 때 타인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시제는 시간과 동작의 변동을 구분하는 문법형태소로, 발화시와 동작시의 시간적 차이를 나타내는 시제를 적절히 이해하고 표현할 때 타인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시제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시제연구는 미비하며, 지적장애아동의 인지능력과 상황 일반화 같은 일반적인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시제연구가 필요함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시제를 구문이나 형태의 영역에서 연구의 일부로 다루는 경향이 있었고, 탈맥락적인 상황에서 시제를 연구하여 맥락적인 상황에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동작의 흐름에 따라 맥락을 제시하고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경도 지적장애아동의 시제이해와 산출특성, 시제오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언어연령이 만 5~7세인 경도 지적장애아동 10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0명으로 하였다. 두 집단의 시제이해와 산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오류기준에 따라 오류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 지적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이해 특성에서 경도 지적장애아동은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낮은 수행을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현재, 과거, 미래 순의 정확도를 보였다. 시제유형에 따른 시제이해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집단 내에서 주효과가 나타났으나 집단 간 주효과와 시제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경도 지적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산출 특성에서 지적장애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하여 낮은 수행을 보였으며, 지적장애아동은 현재, 과거, 미래 순으로, 일반아동은 과거, 현재, 미래 순으로 두 집단이 다른 패턴의 정확도를 보였다. 두 집단의 시제유형에 따른 시제산출 특성을 알아본 결과 집단 간과 집단 내 시제유형에서 주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시제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시제이해에서 나타난 오류특성을 보면, 두 집단 모두 동일한 양상을 나타내어 미래를 현재로 이해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시제산출에서는 두 집단이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지적장애아동은 시제오류 중 미래를 현재로 산출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동사오류 중에서 과거를 현재로 산출하는 비율이 다음으로 높았다. 일반아동은 시제오류 중 미래를 현재로 산출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시제오류에서 현재를 과거로 산출하는 오류의 비율이 다음으로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경도 지적장애아동은 시제이해에서 일반아동에 비해 다소 낮은 수행을 보이나 동일한 양상을 나타내며, 시제산출에서는 두 집단이 다른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지적장애아동의 실제적인 시제능력을 파악하여 아동이 일상생활에서 상황에 적합한 시제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