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작문 분석을 통한 어휘의 다양성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exical diversity of advanced Korean learners by analyzing their writing. Advanced learners are composed of heritage learners and foreign learners. For this purpose, using several practical variables and analytical c...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exical diversity of advanced Korean
learners by analyzing their writing. Advanced learners are composed of
heritage learners and foreign learners. For this purpose, using several
practical variables and analytical criteria, I analyzed the evaluated results of
writing skills, which are controlled by the variables and criteria. Also, the
difference between the writing skills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e
advanced Korean learners are shown.
The various theoretical and novel methods were adapted and revised in
order to estimate the lexical diversity of Korean. Also, the new methods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is are:
First, in chapter 1, the importance of lexical diversity analysis between
difference groups, the specific purpose, and research questions are
introduced. In chapter 2, the vocabulary terminology and tools methods
measuring the ability of vocabulary were defined as a theoretic background.
The literature study of lexical diversity and heritage learners, foreign
learners’ lexical study are summarized. In chapter 3, the adapted research
methods are explained and new essential research methods are developed.
Also, the statistical analyses from the survey results are shown. In chapter 4, research questions are answered with statistical analyzed data, are
discussed, and are suggested the different teaching strategies for heritage
learners and foreign learners. In chapter 5,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and some futures works are suggested.
The critical results are summarized in several following poin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veral groups of the
token and the type. According to the genre, heritage learners and foreign
learners used similar amount of token and type in creative writing. On the
other hand, it was different to the narrative writing. The heritage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used a similar amount of token and type in their
writings. Als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ken and type were found
according to the topics.
Second, no significant relation was found in lexical diversity of groups,
assessing TTR and MSTTR. However, within each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t lexical diversity between the genres.
Third, each group used lexical languages was categorized into according
to meaning of words. In results, there were some features of heritage
learners and foreign learners when they use lexical in the genre based
writing. First of all, heritage learner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native
speakers in usage of concrete and clear vocabulary, colloquial Korean, and
emotional expression vocabulary. These results were much more significant
than foreign learners. However, They could not use various professional and
detailed vocabulary as much as native speakers and so did make
expressions or relevant lexical of willingness and value. This is similar as
foreign learners. On the other hand, the foreign leaners mostly used much
less types of meaning classes than other groups except the meaning classes
related to their current situations such as education, intellection and so on.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e evaluated methods of lexical diversity,
which hasn't been studied much effectively using controlled writing to
produce the objective numbers according the various criteria. Also, this research fou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lexical usage
between two group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different teaching
approach is necessary for the heritage learners and foreign learners. Also,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research in the real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연구에서는 한국고급 학습자가 산출한 작문 가운데 나타난 어휘분석하기 위해 고급 수준의 계승어로서의 한국학습자와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사용한 어휘의 다양...

연구에서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가 산출한 작문 가운데 나타난 어휘를 분석하기 위해 고급 수준의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와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사용한 어휘의 다양성을 객관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측정 도구와 세부적인 분석 기준을 설정한 후 여러 변인이 효과적으로 통제된 작문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한국인 모어 화자와의 차이점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해외에서 지속적으로 연구 되었던 어휘의 다양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한국어에 맞추어 재조정하였고, 어휘의 다양성을 측정하기 위한 과제와 도구를 새롭게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서술되었다.
먼저 제1장에서는 서로 다른 집단의 어휘의 다양성 분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및 구체적인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를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인 배경으로서 어휘를 정의하고 어휘 사용을 측정하는 도구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어휘의 다양성에 관한 것과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계승어 학습자, 외국인 학습자의 어휘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연구 참여자와 연구 도구, 연구 절차를 마련하였으며, 이에 따른 통계적 결과를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수집된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 문제를 검증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논의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를 요약하고 앞으로 진행될 후속 연구를 제언함으로써 연구를 마감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해주었다.
첫 번째 연구 질문인 각 집단별로 생산한 전체 어휘의 양(구현)에 대한 것과 두 번째 연구 질문인 각 집단별로 생산한 중복되지 않은 어휘의 양(유형)에 대하여, 각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주제별로 나누어 살펴봤을 때, 상상하여 글쓰기 과제의 경우 계승어 학습자와 외국인 학습자가 비슷한 구현, 유형의 양을 구사하였으며 이야기 구성하기 과제의 경우 계승어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가 비슷한 구현, 유형의 양을 구사하였다. 또한 외국인 학습자는 서로 다른 주제에 따라 어휘 구현, 유형의 양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다른 두 집단의 경우 주제에 따른 어휘의 양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세 번째 연구 질문인 각 집단별, 주제별로 어휘의 다양성은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에 대하여,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표준화된 구현 수에 맞추어 측정한 경우에도 집단 간의 어휘의 다양성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한 집단이 서로 다른 주제에 대하여 생산한 작문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네 번째 연구 질문인 각 집단별로 서로 다른 의미 부류에 속하는 유형의 양은 어떻게 나타날 것인지에 대하여 학습자들이 수행한 작문 주제별,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들이 있어 이를 통해 계승어 학습자와 외국인 학습자의 어휘 사용에 특징적인 부분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먼저, 계승어 학습자는 눈에 보이는 일반적이고 명확한 어휘, 또한 일상 중에 자주 사용되는 어휘,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영역의 어휘 구사에 있어서는 한국인 모어 화자와 차이가 없을 뿐더러 외국인 학습자에 비해 다양한 유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실제 한국 사회에서 통용되는 어휘라든지, 대표성이 있기보다 세부적인 명칭을 나타내는 어휘들의 경우 한국인 모어 화자만큼 다양한 유형을 구사하지 못하고 외국인 학습자와 비슷한 양의 유형을 사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황에 대한 의지나 가치 등을 나타내는 표현과 관련된 어휘의 경우 또한 한국인 모어 화자에 비해 다양한 유형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외국인 학습자와 비슷한 양의 유형을 사용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외국인 학습자들의 경우 교육, 사고 등 자신의 현재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의미 부류의 어휘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의미 부류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적은 유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 변인이 효과적으로 통제된 작문 자료를 다양한 기준에 따라 객관적인 수치를 산출하는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어휘의 다양성 측정 방법을 제시하고, 두 집단의 어휘 사용에 유사점과 차이점을 제시한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와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을 위해 다른 접근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집단의 특징에 따른 한국어 교육 방안에 실제적인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