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언어 중심의 언어 통합’ 교육에 대비되는 말로서 ‘문화 중심 또는 문화 기반의 언어 통합’교육을 전제로 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대중성과 시각성의 장점을 가진 텔레비...
본 연구는 ‘언어 중심의 언어 통합’ 교육에 대비되는 말로서 ‘문화 중심 또는 문화 기반의 언어 통합’교육을 전제로 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대중성과 시각성의 장점을 가진 텔레비전이라는 매체 속에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단순히 텔레비전의 광고나 드라마, K-POP 등을 활용한 교육이 아닌 텔레비전 자체가 하나의 온전한 한국어 교육 과정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에 따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금까지 제작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미디어 교육 측면과 한국어 교육 측면에 따라 분석한 후 장단점을 고려하여 교육 방송의 역할과 한국어 교육 원리에 근거한 교육 과정을 통해 시범적인 방송인 파일럿 프로그램을 설계한 것이다.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한국어 교육이 어느 정도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EBS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결혼여성이민자나 다문화 가정의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프로그램은 증가하는 반면,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은 학습자, 그 중에서도 문화 교육의 비중이 높아지는 초급 중후반 학습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만들어진다면 텔레비전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 뿐 아니라 제작된 프로그램의 실효성에 따라 세계 여러 나라의 언어로도 번역이 되어 공급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과 연구 방법, 기대 효과를 가지고 문화 교육 교재 및 텔레비전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 필요한 문화 항목은 생활문화, 제도문화, 예술문화를 주된 항목으로 언어문화와 한국의 개관에 대한 부분으로 드러났다. 교육 과정은 일반적인 한국어 교육 과정을 따랐으며, 방송에서 자막 활용을 극대화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보일 수 있도록 파일럿 구성안을 마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텔레비전이라는 매체가 가진 영상적인 장점을 취해 한국어 교육 원리를 적용한 ‘문화 기반 한국어 교육’ 모델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검색어 : 한국 문화, 한국어 교육,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설계, 문화 항목, 한류, 문화 기반, 미디어 교육, 문화 중심 언어 통합 교육. 언어문화.
This study purposes to realize the Kore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culture-focused or culture-based language integration’, which has the opposite meaning from ‘language integration by focusing on language’, on the media, television, that ha...
This study purposes to realize the Kore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culture-focused or culture-based language integration’, which has the opposite meaning from ‘language integration by focusing on language’, on the media, television, that has the advantages of popularity and vitality.
This is not an education that uses simple advertisements, drama series, and K-POP, but makes television itself to play a role of a complet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e study designed a pilot program, which is the trial program, through the curriculum based on the role of an education broadcasting and Korean education theory by considering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fter analyzing the existing Korean education programs until now in both aspects of media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From EBS Korean education programs, which had been emerged as a leader of the Korean education even from the foreign language area, increased its number of Korean education programs for married women immigrants and learn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programs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who takes much ratio in the cultural education. If such program is made, it would increase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through the television and also would be an opportunity to provide it to various countries as translating into their languages according to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cultural education textbooks and television education programs with above purpose, studying method, and expectations, the major cultural items required for this study were appeared to be living culture, system culture, and art culture as parts of language culture and an overview of Korea. The curriculum followed the general Korean education courses, and prepared the pilot plan to have the visual effect by maximizing the subtitles during the broadcasting.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means in proposing the ‘culture-based Korean education’ model that applied the Korean education theory with the visual advantage that the media, television, has.
Key words: Korean culture, Korean education, television broadcasting, program design, cultural item, Korean wave, culture-based, media education, culture-based language integrated education, language culture.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