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了’와 한국어 ‘-었-’의 대응 연구 : 중국 소설『홍까오량 가족』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analyzes the meanings of the representative Chinese and Korean grammatical markers 'le' and '-eoss-' in terms of tense. On this basis, it then investigates why the manner of dealing with these markers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has give...

This analyzes the meanings of the representative Chinese and Korean grammatical markers 'le' and '-eoss-' in terms of tense. On this basis, it then investigates why the manner of dealing with these markers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has given rise to discrepancies in meaning.
Comparative studies on the 'le' and '-eoss-' markers are not few. Yet, a purely tense-focused analysis of the manners in which these markers have been translated remains difficult to find in the existing scholarly literature even as one look at the body of Chinese-Korean translations will reveal that the le-eoss translation is the most frequent one conducted between the two languages. This being the case, were the 'le' marker to be interpreted as a tense marker, Korean-Chinese literary translation would become a substantially easier task. Accordingly, this study begins with the fact that the 'le' marker has a tense implication, and on this basis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more accurate translation strategy.
This argues against the idea that the 'le' marker lacks a tense implication. It defines the tense implication of the 'le' marker as one of "anteriority (先時性)," seeing the 'le' marker's function as a indictor of past tense as fundamental. Moreover, it points out that although the '-eoss-' marker has a number of meanings in addition to that of tense including those of aspect and mood that of past tense remains most fundamental. Accordingly, based on its analysis of the tense implications of the Chinese 'le' and Korean '-eoss-' markers in the first three chapters, this study uses its fourth chapter to explore the 1986 novel Red Sorghum (Ch. 『紅高粱家族』, Kor. 『홍까오량 가족』) by Mo Yan (莫言) as a case study of the strategies for the le-eoss translation. As to the reasons for the historical lack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Chinese 'le' and Korean '-eoss-' markers, it finds the following. First, the usages of the Chinese 'le' marker are more diverse than those of the Korean '-eoss-' marker. Second, in complex sentences, the rules for the usages of 'le' and '-eoss-' are different. In postcedent clauses, the Chinese 'le' and Korean '-eoss-' markers correspond in meaning, whereas in antecedent clauses, cases in which they do not are common. This is because although the antecedent clause in Chinese is often treated as the subordinate clause in Korean, the '-eoss-' marker is not necessarily present in the Korean subordinate clause. On the basis of these case studies, suggested translation strategies for the grammatical markers 'le' and '-eoss-' based on the types of sentences in which they occur are summarized in Table 9. The author hopes that this is of use to students, scholars, and translators alike, and is certain that further analysis of these markers across other literary genres and making some provision for the subjective decisions of the translator to be made, will achieve an even more effective Chinese-Korean translation process.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중국어와 한국어의 대표적인 문법 요소 ‘了(le)’와 ‘-었-’의 시제 의미를 분석하여, ‘了’와 ‘-었-’의 대응 양상을 통해 번역이 불일치하게 나타나게 된 원인을...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중국어와 한국어의 대표적인 문법 요소 ‘了(le)’와 ‘-었-’의 시제 의미를 분석하여, ‘了’와 ‘-었-’의 대응 양상을 통해 번역이 불일치하게 나타나게 된 원인을 찾아내는 데 있다.
지금까지 ‘了’와 ‘-었-’에 대한 대조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는데 단순히 시제 기능을 중심으로 번역 대응 양상을 분석하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지만, 실제 번역 사례를 바탕으로 보면 ‘了’는 ‘-었-’과 대응하는 상황이 제일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了’를 시제 표시로 해석한다면, 중·한 번역을 더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따라서 ‘了’가 시제의 의미를 갖고 있다는 점에 기초를 두고 번역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了’가 시제 기능을 지니지 않는다는 점에 반대하여 ‘了’의 시제 기능을 ‘선시성’으로 규정하고 과거 시제 기능이 더욱 기본적이라고 보았다. 또한 ‘-었-’은 시제, 상, 그리고 양태나 서법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 기본 의미는 과거 시제이다. 이에 따라 4장에서 분석한 ‘了’와 ‘-었-’의 시제 기능을 바탕으로 실제 문학 작품인 『홍까오량 가족』을 통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르면 ‘了’와 ‘-었-’이 대응하지 못하는 원인을 첫째, 중국어의 ‘了’는 ‘-었-’보다 다양하다는 것, 둘째, 복문에서 ‘了’와 ‘-었-’의 사용 규칙이 다르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후행절에 있는 ‘了’가 ‘-었-’과 대응할 수 있는데 선행절에 있는 ‘了’가 보통 ‘-었-’과 대응하지 않는 상황이 많다. 중국어의 선행절이 대체로 한국어의 종속절로 처리되었는데 종속절이 반드시 ‘-었-’을 수반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를 바탕으로 ‘了’와 ‘-었-’의 대응 양상을 <표 9>와 같이 문장의 구조에 따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번역자의 주관성을 고려하고 다른 장르에서의 번역을 통해 좀 더 보완한다면 더 효과적인 번역 양상이 이루어질 것이라 확신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