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ai learners of Korean’s understanding of the connotative meaning of special interrogative sentence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Locutionary meaning and illocutionary meaning. In other words, in terms 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ai learners of Korean’s understanding of the connotative meaning of special interrogative sentence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Locutionary meaning and illocutionary meaning. In other words, in terms of the locutionary form, the Korean special interrogative sentence is simply an interrogative sentence, but in terms of linguistic context and situational context, implicational semantic functions such as request, imperative, and exclamation can vary depending on the speakers’ intentions. As a resul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ai learners of Korean’s understanding of the connotative meaning of special interrogative sentences, and to also examine whether or not this understanding is influenced by proficiency in Korean and residence period.
Chapter I stat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examines the advanced research related to this topic. The advanced research includes the studies on the semantic function of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s and the studies on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s that target foreign learners. Studies on the influence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Korean residence period in th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have also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Finally, the research problems are displayed.
Chapter II deals with advanced research concerning indirect speech-act, which is highly relevant to Korean special interrogative sentences. Here the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 is examined inclusively as a Korean special interrogative sentence and is delved deeply into. Lastly, the discussion on the classification of semantic functions of Korean special interrogative sentence is generated. Here Korean special interrogative sentences are reclassified into request question, imperative question, adhortative question, ironic question, and exclamation question, and this reclassification was applied as an analysis frame of this research.
Chapter III demonstrates the research method. Seventy Thai learners of Korean and a comparative group of seventy Koreans were treated as subjects of this research. The assessment form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the questionnaire on connotative understanding of Korean special interrogative sentences were carried out as the research tools. The collected data was taken into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two-independent sample t-test’ SPSS version 20.0.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hapter IV prese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show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ai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s in understanding of connotative meaning of Korean special interrogative sentences. Moreover, it shows that the longer the residence period is the more aware of situational context and linguistic context the learners become, rather than just depending on their grammatical and lexical knowledge. The learners have a tendency to connect to knowledge in their native tongu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xt. Learners’ understanding level is not solely affected by a period of residence but also by fluency in the language.
Chapter V is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er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s well as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are revealed. In this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bring classification of Korean special interrogative sentences that are yet to be established as one standard. The tool that assessed Thai learners of Korean’s understanding on connotative meaning of Korean special interrogative sentences was also developed. To sum up,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nvestigated the elements that influence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connotative meaning of special interrogative sentences, which has never been achieved in any existing studies before.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특수의문문에 대한 이해의 정도를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왜냐하면 특수의문문은 언표적 의미와 언표내적 의미가 상이한 것이기 때...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특수의문문에 대한 이해의 정도를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왜냐하면 특수의문문은 언표적 의미와 언표내적 의미가 상이한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자면, 한국어 특수의문문은 언표적 형태는 순수의문문이지만, 언어적 맥락 또는 상황 맥락에 따라 내포적인 의미 기능이 요청, 명령, 감탄 등 화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특수의문문의 함축의미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어 특수의문문의 함축의미 이해에 있어 숙달도와 거주기간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I 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선행연구들은 한국어 의문문의 의미 기능에 관한 연구,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의문문에 관한 연구와 한국어 습득에 있어서 숙달도와 거주기간의 영향력을 관찰한 연구들을 살펴본 후, 본 연구의 연구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II 장에서는 한국어 특수의문문과 관련성이 높은 간접화행을 이론적 배경으로 다루었고, 다음으로 한국어 의문문을 포괄적으로 살펴본 후 한국어 특수의문문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았다. II 장의 마지막에서는 한국어 특수의문문의 의미 기능 분류를 논의해 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특수의문문을 요청의문문, 명령의문문, 청유의문문, 반어의문문 그리고 감탄의문문으로 다시 분류하여 본고의 분석 틀로 적용하였다.
III 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70명과 비교 집단인 한국인 70명을 대상으로 하여, 본고에서 개발된 한국어 숙달도 평가지와 한국어 특수의문문의 함축의미 이해 설문지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SPSS version 20.0의 t-검정(two-independent sample)과 중다회기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IV 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기술하였다. 그 연구 결과를 보면,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간의 한국어 특수의문문 함축의미에 대한 이해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숙달도와 거주기간 중 특히 거주기간이 길수록 문법과 어휘에 대한 지식에 의존하는 것보다 상황 맥락과 언어 맥락에 더 주의를 기울이며 모국어 배경지식까지 연결하여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본 연구에서 밝혔다. 또한 의문문의 표현이 간접성이 높은 의문문 표현은 학습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한국어 특수의문문의 함축의미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있어서는 거주기간이 숙달도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드시 거주기간만이 아니라 숙달도도 유의하게 이해의 바탕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V 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들을 다시 정리하여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다루었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아직도 하나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한국어 특수의문문의 분류를 다시 시도해 보았고,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특수의문문의 함축의미에 대한 이해를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학습자의 특수의문문의 함축의미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까지 검증해 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