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제 3판 언어척도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 문항 분석 및 난이도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제 3판의 언어척도인 수용언어척도와 표현언어척도를 한국 영유아의 언어발달에 적합하게 표준화하여 제작하고, 두 척도 모두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과 ...

연구는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제 3판의 언어척도인 수용언어척도와 표현언어척도를 한국 영유아의 언어발달에 적합하게 표준화하여 제작하고, 두 척도 모두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과 문화적 실정에 적합한 문항들로 구성되도록 구성 및 난이도를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또한 수용언어척도 및 표현언어척도가 각각 언어의 다섯 요소(음운론, 의미론, 형태론, 구문론, 화용론)에 따라 문항들이 고루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였고, 문항의 내적일관성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먼저, 한국 영유아의 언어발달에 적합한 문항들이 구성되어 있는지, 문항의 난이도가 적절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미국판 Bayley-III의 언어척도 문항들을 적절히 번역하여 검토를 받은 후, 전문가의 자문에 따라 문항 및 도구의 수정, 삭제, 추가 작업이 주의 깊게 진행되었다. 이후,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373명의 생후 16일부터 42개월 15일 된 한국 영유아를 대상으로 표준화 연구를 시행하였고, 분석은 문항반응이론을 통해 구성 및 난이도를 분석하였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Bayley-III 언어척도의 문항들을 살펴본 결과, 수용언어척도 및 표현언어척도 모두 음운론, 의미론, 형태론, 구문론, 화용론에 따라 문항들이 균형 있게 구성되어 있었고, 두 척도 모두 난이도 및 언어발달이론에 따라 순서를 배치하였을 때, 기존의 순서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수용언어척도에서는 난이도에 따라 총 6문항이, 표현언어척도에서는 총 3문항이 재배치 되었고, 두 척도 모두 2문항씩 삭제됨에 따라 2개의 보충문항이 추가되었다.
둘째, K-Bayley-III 언어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내적일관성을 살펴본 결과, 수용 및 표현언어척도를 통합하였을 때, Cronbach α 계수가 .84로 매우 높았다. 측정의 표준오차에서는 수용 및 표현언어척도를 통합하였을 때 범위가 1.104-2.669, 평균이 1.684 로, 미국판 Bayley-III 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준으로 오차가 적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수용 및 표현언어척도 모두에서 .98 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고, 검사자 간 신뢰도도 수용 및 표현언어척도 각각 .998, .997 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즉, K-Bayley-III의 언어척도는 높은 신뢰도를 증명하고 있다.
셋째, K-Bayley-III 언어척도의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내용 타당도의 측면에서 문항의 내용 및 구성이 적절하도록 발달 및 언어 전문가에 의해 검증을 받았다. 상호상관 검증에서는 수용언어척도와 표현언어척도 모두 K-Bayley-III의 다른 하위 척도와도 유의미한 상호상관을 보였고, 특히 언어척도와 수용언어척도 간의 상관은 .914, 언어척도와 표현언어척도 간의 상관은 .937 로 다른 어느 척도보다 더 높았다. 공인 타당도의 검증에서는 K-Bayley-III 수용언어척도와 PRES 수용언어척도와의 상관이 .899, K-Bayley-III 표현언어척도와 PRES 언어척도와의 상관이 .847 로 유의미하게 높았다(P < .05). K M-B CDI 와의 전체 상관에서도 .921 로 유의미하게 높았다(P < .01).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제 3판 언어척도의 문항을 난이도에 따라 적절한 순서로 배열하여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 및 문화적 실정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고, 한국 영유아의 언어능력을 적절하게 평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문항들이 분리되어 분석된 것이 아니라 같은 기준에 따라 분석되어 두 척도의 문항 수준이 적절하게 균형이 잡혀 있고, 무엇보다도 언어의 다양한 측면을 모두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 영유아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기에, 추후 더 광범위한 지역 및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전국의 한국 영유아에게 문항이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한국 영유아의 언어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한 규준을 세워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andardize the Korean version of the Language Scales of the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3rd Edition(K-Bayley-III) by analyzing the components and difficulties of each item and examining whether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andardize the Korean version of the Language Scales of the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3rd Edition(K-Bayley-III) by analyzing the components and difficulties of each item and examining whether the items in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s are socio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appropriate for assessing language skills of developing Korean young children. All items within both language scales were composed of one or more language components such as phonology, morphology,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s were obtained in order to identify the appropriate scale for examining language developments of Korean infants and toddlers. Translated titles of each item were repeatedly reviewed, and items were modified, removed, or added in order to produce the ultimate version of the K-Bayley-III Receptive and Expressive Scales. 373 Korean infants and toddlers in the age range of 16 days-42 months 15 days residing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preliminary study.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21.0 and item response analysis was additionally done with the BILOG-MG3.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tems in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s showed a balance in the five language components. Both language scales did not show marked changes in item difficulty, although certain number of items did show inappropriate order. A total of 6 items from the receptive scale and 3 items from the expressive scale were rearranged in placement and 2 items were added in each language scale due to the removal of the same number of items. Thus, most items reflected appropriate sequences of the language development in Korean young children.
2. Results of the inter-item consistency reliability demonstrated a Cronbach α of .84 in the combined language scale, showing high reliability. The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SEM) of the combined language scale ranged between 1.104-2.669 with an average of 1.684. Such value is definitely lower than that of the original Bayley-III Language scale(4.74), implying a lower level of error in the K-Bayley-III Language scale. The test-retest reliability levels in both RC and EC scales were .98 reflecting high levels. The inter-rater reliability scores of the RC and EC scales were respectively .998 and .997, also reflecting strong correlations.
3. Two professional Korean experts within the field verified all items in the language scal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ross-correlation test, both language scales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other scales and the language scale itself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ach of the RC and EC scales, respectively .914 and .937. Such values were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correlations. In terms of concurrent validity, the RC scale of K-Bayley-III and that of the PR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of .899, and the EC scale of K-Bayley-III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at of the PRES, a correlation of .847. The K-Bayley-III language scale also demonstrated high correlations with the K M-B CDI such as .921.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preliminary version of the K-Bayley-III Language scales contain items that are properly translated and applied to assess language development sequences and skills of Korean infants and toddlers within their sociocultural-linguistic context. Both the RC and EC scales show a balance in their composition, showing strengths in assessing all dimensions of language. Further studies should aim for greater number of participants in order to adequately standardize such instrument based on normally developing Korean young children, which will finally provide a norm for effectively assessing language developments of Korean infants and toddler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