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자표상 능력이 말소리 분절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Phonological awareness, the ability to perceive speech sounds and to manipulate speech sounds, has been shown to effect on the individual's reading development. A few studies mentioned orthographic knowledge has a influence on reading development than...

Phonological awareness, the ability to perceive speech sounds and to manipulate speech sounds, has been shown to effect on the individual's reading development. A few studies mentioned orthographic knowledge has a influence on reading development than phonological awareness. That is, phonological awareness and orthographic knowledge have a corelation. Then, the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or not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assess entirely the pure phonological awarenes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ect of the orthographic representation on speech sound segmentation performance. This study was conducted about 55 normal childre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relation between orthographic representation ability and speech sound segmentation ability of children was firstly investigated. The children were grouped into high-level orthographic representation group and the low-level orthographic representation group by orthographic representation ability. Lastly, error types of speech sound segmentation task were analyzed between the groups. The tasks consist of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s words and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The outcom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tween orthographic representation ability and speech sound segmentation ability in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s words wer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in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wer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regardless of the type of task, speech sound segmentation performance of low-level orthographic representation group than of high-level orthographic represent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ype of task and group was significant. Third, the most common error pattern was orthography conversion error, which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high-level orthographic representation group than in low-level orthographic representation group.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error patterns and group was significant.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hildren who acquired a little orthographic knowledge performed speech sound segmentation task based on the orthographic representation. This trend was apparent in the high-level orthographic representation group, but it was also observed in low-level orthographic representation group. Thus, thereafter began to learn to orthographic knowledge at least, phonological awareness task was purely about whether to assess the proper way would require careful consideration.

음운인식(phonological awareness)이란 구어에서 사용된 단어의 말소리를 지각하고, 변별, 합성, 탈락, 분절 등의 방법으로 말소리를 조작하는 능력을 말한다. 음운인식이 읽기발달에 영향을 미친...

음운인식(phonological awareness)이란 구어에서 사용된 단어의 말소리를 지각하고, 변별, 합성, 탈락, 분절 등의 방법으로 말소리를 조작하는 능력을 말한다. 음운인식이 읽기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이미 기존의 여러 연구들에서 밝혀져 있다. 그러나 철자를 배우기 시작하면 철자지식(orthographic knowledge)이 음운인식보다 읽기에 더욱 영향을 미치고, 철자를 습득한 이후에는 철자지식이 음운인식 자체에도 영향을 준다고 주장한 연구들을 찾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최근의 일부 연구에서는 철자지식과 음운인식에 대해 하나가 다른 하나에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 또는 특정 능력이 다른 능력의 선행조건이라기보다, 두 능력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적인 관계에 있다고 보고 있다.
음운인식과 철자지식과의 상호작용 측면을 고려할 때, 음운인식 과제가 전적으로 음운인식, 즉 구어의 말소리 인식 능력을 평가하고 있는지, 아니면 철자지식 능력을 평가하고 있는지, 혹은 둘 다를 평가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철자표상 능력이 음운인식 평가 방법 중 하나인 말소리 분절과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선 일반아동 55명을 대상으로 철자표상 능력과 말소리 분절능력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이후 철자표상 능력에 따라 대상자들을 철자표상 하위 집단과 철자표상 상위 집단으로 나눈 후, 두 집단 간 말소리 분절 과제 수행력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집단 간 말소리 분절과제에서 나타난 오류유형을 비교하였다. 말소리 분절 과제는 음절분절과 음소분절 과제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리고 말소리 분절 과제를 자소-음소 일치 단어와 음운규칙이 적용되는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는데, 이는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의 경우 말소리 분절 과제에 대한 철자표상의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그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철자표상 능력과 말소리 분절 능력 간에는 자소-음소 일치 단어의 경우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의 경우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에서 두 능력 간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난 이유는 제시한 단어에 대해 순수하게 음가로 반응하여 분절한 경우만을 정반응으로 채점한 본 연구의 분석방법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많은 대상자들이 ‘/nanlo/(난로)’와 같은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에서 음가인 “/nal/, /lo/”로 분절하지 않고 철자형태를 반영하는 “/nan/, /lo/”로 분절하였는데, 철자형태로 반응한 경우는 정반응으로 분석하지 않았다. 둘째, 과제 유형에 상관없이 말소리 분절 과제 수행력은 철자표상 상위 집단보다 하위 집단에서 오히려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제 유형과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자소-음소 일치 단어에서는 두 집단 간 수행력이 유사하였던 반면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에서는 철자표상 상위 집단의 수행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기술하였듯이 많은 대상자들이 말소리 분절 과제를 음가 대신 철자로 분절하였는데, 이러한 경향이 철자표상 상위 집단에서 더욱 두드러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셋째, 집단에 상관없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오류는 철자화 오류였다. 집단과 오류유형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철자화 오류는 철자표상 하위 집단보다 상위 집단에서 훨씬 빈번하게 나타난 반면 그 이외의 오류들은 철자표상 상위 집단보다 하위 집단에서 좀 더 빈번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철자를 배우기 시작하는 아동은 철자표상에 근거하여 말소리 분절 과제를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철자표상 능력이 우수한 철자표상 상위 집단에서 두드러졌지만, 철자표상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철자표상 하위 집단에서도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지만, 철자표상의 영향력은 말소리 분절 과제 이외의 다른 음운인식 과제에 대해서도 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제시한 구어자극에 대해 말소리를 인식하는 능력이라는 음운인식의 정의를 다시 한 번 상기해볼 때, 적어도 철자를 알기 시작한 이후부터는 음운인식 과제가 순수하게 음운인식 능력을 평가하는 타당한 방법인지에 대해 보다 신중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