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학습 환경과 간접성의 정도가 한국어 고정 표현의 인식과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용적인 고정 표현은 사회문화적 영향...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학습 환경과 간접성의 정도가 한국어 고정 표현의 인식과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용적인 고정 표현은 사회문화적 영향을 많으며 생성된 표현이기 때문에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의 특징을 함축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학습자가 고정 표현을 제대로 인식지 못하거나 사용에 오류를 범할 경우 의사소통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언어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언어 학습 환경과 한국어 고정 표현의 간접성(관용성)의 정도가 학습자의 고정 표현 인식과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고정 표현에 대해서는 연구의 초점에 따라 여러 용어들이 혼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는 국립 국어원(2005)에서 상투적 표현으로 분류하는 고정 표현에 한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는 관용 표현 중에서 연어 표현, 속담(준속담)이나 숙어에 속하지 않는 표현들의 범주를 설정한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고정 표현들의 간접성 정도에 따른 학습자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인 대상 설문조사와 문금현(1998)에서 분류한 관용 표현의 의미적 분류 기준인 불투명한 유형, 반불투명한 유형, 반투명한 유형 분류를 응용하여 간접성 정도 구분에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 1에서는 언어 학습 환경에 따라 한국어 학습자의 고정 표현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고 연구 문제 2에서는 고정 표현의 간접성 정도에 따라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문제 3에서는 특정 고정 표현의 의미를 바르게 설명한 실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해당 고정 표현의 생산도 바르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언어 학습 환경에 따라 학습자들의 고정 표현의 생산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어 고정 표현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정도와 생산 능력을 알아볼 수 있는 실험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태국에서 학습하는 태국인 고급 학습자 집단과 한국에서 학습하는 태국인 고급 학습자 집단 총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용적 지식으로 학습자에게 유용성이 높은 고정 표현을 대상으로 언어 학습 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고정 표현의 인식하는 데 언어 학습 환경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간접성이 낮은 표현의 인식보다 간접성이 높은 표현의 인식에 더 어려움을 느꼈다. 또한 같은 언어 학습 환경 내에서도 간접성 정도에 따라 고정 표현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같은 언어 학습 환경 안에서도 고정 표현의 간접성 정도가 높은 경우에 학습자들은 인식에 더 어려움을 보였다.
셋째, 본 연구의 실험 결과 학습자가 고정 표현을 생산하는 데 언어 학습 환경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즉 학습자는 현지에서 학습하는 경험을 통해 목표 언어에 노출되는 정도가 높은 경우 고정 표현의 인식과 생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언어 유창성과 자신감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화용적 지식인 고정 표현에 주목하여 학습자의 고정 표현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생산 능력까지 확인해 볼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고, 기존 연구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언어 학습 환경과 간접성 정도라는 변인이 한국어 고정 표현의 인식과 생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실험 대상자가 태국인 학습자로 한정되어 있고 다루고자 한 고정 표현 항목의 수가 적어 학습자의 고정 표현 인식과 생산에 미치는 많은 다른 변수들(사용 빈도, 학습자의 언어 노출 정도, 숙달도, 고정 표현의 유형 등)의 영향 등에 대해서는 살피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학습자의 언어 산출 과정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돕고 유창성을 높일 수 있게 하며 학습자의 자신감이 증가시키는 등 언어 학습에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고정 표현에 대한 연구가 더 다양한 각도에서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활발히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