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지속상에 대한 비교 연구 : ‘-고 있다’, ‘-어 있다’와 ‘着’, ‘在’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은 지속상(持续相)을 선택하여 한국어의 상 표지 ‘-고 있다’, ‘-어 있다’와 중국어의 지속 의미를 나타내는 ‘V着’, ‘在V’의 비교 연구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중 지...

본 논문은 지속상(持续相)을 선택하여 한국어의 상 표지 ‘-고 있다’, ‘-어 있다’와 중국어의 지속 의미를 나타내는 ‘V着’, ‘在V’의 비교 연구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중 지속상 표지들의 의미기능과 통사적 특징을 분석하여 서로 간의 대응관계 및 동사와의 결합양상을 비교함으로써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것이다.
한국어 ‘-고 있다’는 ‘동작의 지속’ 및 ‘동작 완료 후의 상태 지속’을 나타내고 ‘-어 있다’는 ‘동작 완료 후의 상태 지속’만 나타낸다. 반면, 중국어 조사 ‘着’은 ‘동작의 지속’, ‘동작 완료 후의 상태 지속’, 이 두 가지의 의미를 가지고 있고 부사 ‘在’는 ‘동작의 지속’의 의미만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에서 ‘-고 있다’는 일반 동사와 두루 결합이 가능한데 ‘-어 있다’는 동사와의 결합에 제약이 있다. 마찬가지로 중국어에서 ‘着’은 동사와의 결합에 제약을 보인다. 중복 동작을 나타날 수 없는 ‘瞬間動詞’, 지속 의미를 표현하지 않는 ‘恨(미워하다),韩语毕业论文,知道(알다),同意(동의하다)’ 등과 같은 동사, 또는 지속의 여부를 말할 수 없는 ‘屬於(속하다),當做(취급하다)’ 등과 같은 동사, 그리고 ‘打倒(때려 쓰러뜨리다),韩语论文,打敗(싸워 이기다)’ 등의 ‘動補式動詞’는 모두 ‘着’ 과 결합하기 어렵다. ‘着’에 비해 ‘在’는 의미가 단일하기 때문에 ‘着’보다 동사와의 결합에 제약을 더 받는다.
한·중 지속상 표지들은 각각의 의미에 의해 서로 대응을 이룬다. 한국어 ‘-고 있다’는 ‘동작의 지속’을 나타날 때 중국어의 ‘V着’이나 ‘在V’와 대응되는데 ‘동작 완료 후의 상태 지속’을 나타낼 때는 ‘V着’과만 대응된다. 반면에 이런 대응을 이루는 동시에 차이점도 보인다. ‘-어 있다’는 ‘동작 완료 후의 상태 지속’을 나타내며 ‘着’과 대응이 된다. 그러나 한국어의 ‘죽다, 끊어지다, 무너지다’ 등 순간동작을 나타내는 동사는 ‘-어 있다’와 결합하여 상태의 지속을 나타내지만 중국어에는 ‘着’과 결합할 수 없다.
정희자(1994)에서 분류된 상태동사, 과정동사, 완성동사, 순간동사, 이 네 가지 동사가 한·중 지속상 표지 ‘-고 있다’, ‘-어 있다’ 그리고 ‘在’, ‘着’과의 결합에도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인다. 상태동사가 묘사하는 상황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나 움직임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지속’의 의미를 나타내는 ‘-고 있다’와 ‘-어 있다’, ‘在’와 ‘着’과 공기할 수 없다. 과정동사는 종결점을 갖지 않기 때문에 ‘동작의 지속’만을 나타내는 ‘-고₁ 있다’, ‘在’ 그리고 ‘着₁’과만 공기가 가능하다. 하지만 중국어의 ‘在’는 심리상태를 나타내는 ‘사랑하다’와 같은 동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완성동사는 [결과성]의 유무에 따라 결과성 완성동사와 비결과성 완성동사로 구분된다. [/결과성] 완성동사는 ‘-고₁있다’, ‘在’와 결합하여 ‘동작의 지속’을 나타내고 ‘-고₂있다’와 결합하여 인체 착용에 관한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결과성] 완성동사는 ‘-어 있다’, ‘着₂’와 결합하여 ‘상태의 지속’을 나타낸다. 하지만 ‘-어 있다’와 결합하는 완성동사는 자동사이어야 한다. 반대로 ‘着₂’와 결합하는 완성동사는 이런 통사적 제약을 받지 않는다. [-결과성] 완성동사는 완성점이 없기 때문에 동작이 완료된 후의 ‘상태 지속’을 나타내는 ‘-고₂있다’, ‘-어 있다’ 그리고 ‘着₂’와는 모두 결합할 수 없는 반면에 ‘-고₁있다’, ‘在’와 결합하여 동작이 완성점에 도달하기 전의 ‘동작의 지속’을 나타낸다. 순간동사는 원칙적으로 한·중 지속상 표지 ‘-고 있다’, ‘在’ 그리고 ‘着’과 결합하기 어렵다. 하지만 ‘기침하다’처럼 동작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동사는 ‘-고₁있다’, ‘在’ 그리고 ‘着₁’과 결합하여 일종의 ‘동작의 지속’을 나타낸다. 또한 주어가 복수일 때도 마찬가지다. 이외에 순간동사는 자동사일 때는 ‘-어 있다’와 결합하여 동작이 완료된 후의 ‘상태의 지속’을 나타낸다. 하지만, ‘-어 있다’와 대응되는 ‘着₂’ 는 안 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한국인과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중 지속상을 더 효율적인 이해와 사용 오류 극복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 바 있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