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신부전이 계속 진행되어 신장기능이 정상인의 10% 이하로 저하되면 신 대체요법인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 혹은 신장이식이 필요하게 된다. 복막투석은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자가치료...
만성 신부전이 계속 진행되어 신장기능이 정상인의 10% 이하로 저하되면 신 대체요법인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 혹은 신장이식이 필요하게 된다. 복막투석은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자가치료이므로 환자의 치료 불이행 시 의료진이 모니터링 하는 것이 쉽지 않아서 환자 스스로 관리하려는 의지와 수행 없이는 성공적인 치료가 어렵다. 따라서 적절한 중재 수단을 활용하여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교육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적극적으로 치료에 참여하도록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만성 신부전 환자들은 엄격한 식이제한, 투석으로 인한 시간제한, 신체적 기능제한, 실직, 가정 및 직장, 사회에서의 역할 상실, 성기능의 변화, 신체상의 변화, 질병으로 인한 증상경험, 약물 부작용의 위험, 죽음의 공포를 경험하게 되면서 겪게 되는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상이 야기되거나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막투석 환자에 있어 자가관리를 저해하는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를 관리함으로써 자가간호를 증진시키는 것도 중요한 문제이다. 시간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자가간호 교육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전화상담 프로그램이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와 환자들이 경험하는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설계는 전화상담 프로그램이 자가간호수행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A시 소재 K병원 신장내과 외래를 방문하는 복막투석 환자로 중재군, 대조군 각각 27명씩 총 54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3년 5월부터 2013년 8월까지 3개월간 진행되었다. 중재군, 대조군 모두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중재군에게는 1주일에 한번 씩 총 세 차례의 전화상담 프로그램과 자가간호 실천기록표가 제공되었고 대조군에게는 일상적인 복막투석간호와 자가간호 실천기록표가 제공되었다. 4주째에 중재군, 대조군의 사후조사를 실시하였고 자가간호 실천기록표를 회수하였다. 전화상담 프로그램은 복막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김은민(2005)이 개발한 전화추후관리지침과 복막투석 환자를 위해서 박미화(2004)가 개발한 자가간호 실천기록표를 활용하여 일주일에 한번씩, 15~20분간, 총 3회에 걸쳐 복막투석관련정보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전화상담 프로그램으로 복막투석 간호사에 의해서 중재군에게만 제공되었다.
측정에 사용한 도구로 자가간호수행은 복막투석 환자의 자가간호수행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김영희(1987)가 개발하고 박미화(2004)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우울은 Beck 등(1996)이 개발한 BDI-Ⅱ의 한국어 번역판(김명식 등, 2007)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중재군과 대조군간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간의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independent t-test,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수행 정도와 우울에 대한 분석은 ANOVA, independent t-test, 중재군과 대조군간의 우울과 자가간호수행 정도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independent t-test, 전화상담 프로그램이 자가간호수행정도와 우울정도에 미치는 효과는 ANCOVA,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재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결과, 배우자의 유무(p=0.018)와 연령(p=0.015)을 제외한 나머지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복막투석 기간, 원인질환, 투석형태, 복막염 경험, 다른 투석 경험에 따른 중재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제 1가설 “전화상담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복막투석 환자는 전화상담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복막투석 환자보다 자가간호수행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연령과 배우자 유무를 공변량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중재군과 대조군의 자가간호수행 점수(F=.007, p=.93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제1 가설은 기각되었다.
4) 제 2가설 “전화상담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복막투석 환자는 전화상담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복막투석 환자보다 우울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연령과 배우자 유무를 공변량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중재군과 대조군의 우울점수(F=.170, p=.68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제2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상에서 중재군에게 전화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자가간호수행 점수와 우울점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중재군의 자가간호수행 점수가 이미 높은 편이어서 중재의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났으며, ANCOVA 분석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연령과 배우자의 유무가 자가간호수행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전화상담 프로그램이 보다 효과적이려면 우울개선을 위한 내용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령과 배우자의 유무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획일적인 중재 내용이 아니라 이제는 맞춤형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복막투석 환자의 자가간호 실천의지를 증진시킬 수 있고 우울에 실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중재방안이 보완되어 제공된다면 전화상담 프로그램이 복막투석 환자의 신체적 요구뿐만 아니라 정서적 요구도 충족시키는 효과적이고 유용한 중재로 임상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