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단위(IU)에 따른 경도인지장애군의 연속발화 분석 방법의 타당성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 the connected spoken language based on the Information Unit (IU) scoring system and (2) correlation between the IU and other linguistic measurements in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n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 the connected spoken language based on the Information Unit (IU) scoring system and (2) correlation between the IU and other linguistic measurements in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normal elderly adults (A). The IU is a predetermined word, which delivers accurate and relevant information about a certain story. Unlike the conventional ways to analysis the connected speech, there is no need to transcribe the connected speech in the IU scoring.
Fifteen individuals with MCI and A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task consisted of two different stories: (1) familiar story and (2) novel story. Each story was presented auditorily with 6-cut sequential pictures. All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retell the story as much as they could remember, and the examiners analyzed their speech samples using an IU checklist.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greater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familiar story than the novel story, and (2) IU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other linguistic measures especially with the familiar story for the people with MCI.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the IU scoring could be a valid system to discriminate individual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s from normal aging population. The outcome of connected speech analysis based on the IU is highly related to other linguistic measures obtained from transcriptions. This suggests that the IU scoring system is a valid and efficient tool to analyze the connected speech in clinical setting.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이하 MCI)는 정상 노화와 치매 사이의 단계이다(Gauthier et al., 2006; Petersen et al., 2004). MCI는 치매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MCI의 조기 변별을 통해 치매로 ...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이하 MCI)는 정상 노화와 치매 사이의 단계이다(Gauthier et al., 2006; Petersen et al., 2004). MCI는 치매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MCI의 조기 변별을 통해 치매로 발전하는 것을 지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MCI의 언어에 대해서는 주로 대면이름대기(confrontation naming) 능력의 저하를 큰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실질적인 언어능력을 평가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특히, 연속발화는 화자의 생각이 언어로 바뀌는 과정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초기 치매 환자에게서 발견되는 사고 흐름의 변화를 알 수 있기 때문에(Chafe, 1990; Chapman et al., 2002; Duchan, 1994; Gordon, 1992). 연속발화 연구는 꼭 필요하다. 연속발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발화를 전사한 후 단어 수, 발화 수, 평균낱말길이(Mean Length of Utterance in Words: 이하 MLU-w), Correct Information Units(이하, CIU) 등의 다양한 언어적 측정요소들을 해당 기준에 따라 분석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발화를 전사하는 과정에서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여 임상에서의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발화 수집의 절차가 간략해질수록 분석의 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McNeil et al., 2001). 이러한 연유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속발화 분석 방법의 결함을 보완한 정보단위(Information Units: 이하 IU) 분석 방법을 토대로 이야기 과제 유형에 따른 MCI 집단과 정상 노인 집단의 연결발화를 분석하고 타당성 및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IU 분석 체계는 McNeil과 동료들(2001)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실정에 맞게 약간의 수정을 거쳤으며, 국내 연구에서는 최초로 IU 체크리스트를 도입하여 IU를 채점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MCI 15명, 정상 노인 15명이었다. 연속발화를 수집하기 위해 IU 분석 체계를 사용하였고 기존의 연속 발화 분석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는 IU 체크리스트를 도입하였다. 실험에는 친숙한 이야기 과제와 새로운 이야기 과제로 두 가지 유형을 사용하였다. 이야기 과제는 IU 수, 단어 수, 명사, 조사, 동사 및 단문과 복문 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같도록 구성하였다. 대상자는 초당 3음절로 녹음된 이야기를 들은 후 그 이야기를 다시 말하도록 지시받았다. 기억력의 부하를 고려하여 각 이야기에 해당하는 그림을 이야기 진행 순서에 맞추어 6컷의 흑백 선화로 제시하였다.
IU 측정요소는 양적 요소와 질적 요소로 구분하였다. 양적요소에 해당하는 IU 측정요소는 IU 수와 IU 비율이며 발화의 절대적인 양을 의미하며, 질적요소는 1분당 IU 수와 비율을 나타내는 분당 IU 수와 분당 IU 비율로 발화의 효율성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 양적 및 질적 IU 측정요소에서 MCI 집단이 정상 노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야기 유형에서 친숙한 이야기 과제가 새로운 이야기 과제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양적 및 질적 IU를 나타냈다. 이러한 MCI 집단이 정상 노인 집단과 구별되는 연속발화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연속발화 수집에 있어 과제의 친숙도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과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양적 IU 측정요소인 IU 수와 IU 비율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IU의 양적 측정요소와 질적 측정요소가 차별된 지표이며 임상적으로 두 측정 요소에 대해 다른 해석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두 집단 간 과제 유형에 따른 IU와 기존의 언어적 측정요소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정상 노인 집단은 친숙한 이야기 과제에서 IU의 질적 측정요소인 분당 IU 수와 분당 IU 비율이 CIU의 질적 측정요소인 분당 CIU 수와 분당 CIU 비율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였으며, 새로운 이야기 과제에서는 어떤 요소에서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CI 집단은 친숙한 이야기 과제에서 IU의 질적 측정요소와 CIU의 질적 측정요소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그 외에도 발화 길이를 나타내는 분당 단어 수와 MLU-w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IU의 양적 측정요소와 CIU의 양적 측정요소 간의 상관관계 뿐 아니라, 단어 수 및 MLU-w에서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에 반해, 새로운 이야기 과제에서는 분당 IU 수와 분당 IU 비율이 분당 CIU 비율에서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속 발화를 수집할 때 IU 분석 방법을 이용해 친숙한 이야기 과제를 시행하는 것만으로도 MCI 집단의 내용 전달 능력 뿐 만 아니라 문장 길이와 같은 요소도 반영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IU 분석 방법을 토대로 연속발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를 MCI 집단과 정상 노인 집단에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IU 측정 요소들에서 MCI 집단의 연속발화 능력이 정상 노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저하 되었으며, 이야기 과제의 친숙도가 연속발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연속발화의 분석이 IU 분석 방법 및 체크리스트의 사용과 친숙한 이야기 과제를 실시하는 것만으로도 MCI 집단과 정상 노인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며 임상에서 적용이 용이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IU가 전사하는 과정이 필요 없어 임상적으로 유용하며 효율적인 연속발화 분석 도구를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