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실대화를 바탕으로, 교사의 경력 및 교실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교사의 교수언어 내용과 이에 따른 교실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여 한국어 교사교육을 위한 유의미한 ...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실대화를 바탕으로, 교사의 경력 및 교실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교사의 교수언어 내용과 이에 따른 교실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여 한국어 교사교육을 위한 유의미한 교육 내용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한국어 교실 수업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교사이며, 교사의 발화는 학습 변인의 중핵적 요소이다. 특히, 교사의 교수언어에 따라 교실수업의 상호작용 양상은 크게 달라진다. 이는 한국어교실과 같은 제2언어 교실에서는 학습자가 해당 언어에 대해 제한적인 능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며, 교사의 교수언어가 곧 목표언어가 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상호작용적 수업과 학습자 전범으로서의 교수언어의 내용을 교육하는 것은 한국어 수업에서 반드시 선결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Ⅱ장에서는 한국어교사의 교수언어 교육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언어 습득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입력과 출력의 역할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작용의 개념적 이해를 보였다. 또한, 의미 협상을 통한 교실 상호작용이 한국어 습득을 위해 어떠한 의의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교실 상호작용의 네 가지 중요성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교사와의 대화 과정을 통해 목표언어의 형태 및 내용을 경험적으로 습득하게 되며, 둘째, 대화전략을 내면화하여 실제 한국어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담화의 사용 전략을 학습하게 되며, 셋째,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한국 사회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담화의 사회·언어적 규칙을 이해하게 되며, 마지막으로 정의적 측면을 강화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언어 학습에 대한 가치를 부여하고 신념 체계를 형성하게 된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교사의 교수언어를 교사의 경력 및 교실 수준에 따라 상호작용적 기준에서 유형별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교수언어의 내용을 바탕으로 교실 상호작용의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수언어의 세부 유형은 상호작용적 관점에 따라 ‘설명’, ‘질문’, ‘반응’, ‘강화’, ‘확장’으로 설정하였으며, 교사 경력 및 교실 수준에 따른 교수언어의 질적인 내용 차이를 분석하고, 이로 인해 일어나는 교실 상호작용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살핀 교수언어의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를 위한 교수언어 교육내용을 도출하고, 교사의 오디오 녹음을 바탕으로 하는 교수언어일지 기록을 통해 성찰적 접근을 바탕으로 교수언어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수언어의 교육내용으로는 설명의 교수언어에서 논리적인 설명 발화의 구성, 조직적이며 구조적인 설명 제시, 적절한 분량의 설명, 인접 개념 및 학습항목 연계를 제시하였으며, 질문의 교수언어에서는 유의미한 이해점검, 고른 순서배당, 화맥에 적절한 제시용 질문, 상호작용이 단절되었을 때, 이를 다시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회용 질문, 사회관계용 질문을 통한 도입부의 상호작용 시작을 제시하였다. 평가의 교수언어에서는 구체적인 내용에 기반한 평가, 상호작용 재활성화를 위한 단서 제공 및 난이도 조정을 제시하였으며, 강화의 교수언어에서는 재발화 요구를 적절하게 구현하여 상호작용을 재활성화하는 방안, 초급 교실에서 상호작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반복과 강조를 내용으로 제시하였고, 확장의 교수언어를 통해 상호작용이 활성화된 교실에서 연관 주제 및 도전적인 추가 과제를 제시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위와 같은 내용을 성찰적인 접근을 통해 한국어 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녹음 및 전사하는 성찰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수업과 상호작용이 강조되는 작금의 추세에서 한국어 교사가 고려해야 할 교수언어의 내용을 현장의 자료를 바탕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녹음 전사를 통해 교실상황 및 교수언어의 사용 환경, 상호작용을 정치하게 연구했다는 점과, 경력교사의 교수언어 내용을 상세화하여 교육 내용으로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초임 교사들이 교실 상호작용을 위한 교수언어를 구현할 때 참조할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제시된 교수언어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들이 교수언어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