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의 목적은 일반목적의 CBT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 방안을 마련하고 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을 서술했고, 선행 연구를 검...
본고의 목적은 일반목적의 CBT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 방안을 마련하고 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을 서술했고, 선행 연구를 검토 했다. 선행연구로는 크게 평가 범주에 관한 연구, 숙달도 평가에 관한 연구, 성취도 평가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목표와 대상을 정했고, 범주를 설정, 그리고 주제와 기능을 제시했다. 평가 범주는 크게 정확성과 적절성으로 나누어서 설정했다. 정확성에는 발음과 문법, 적절성에는 담화 능력과 사회문화적 이해력으로 나누었고, 담화 능력 안에 어휘 사용과 담화 구성으로 묶었다. 기능과 주제는 국립국어원에서 배포하는 교재들을 분석해서 빈도 순으로 정렬한 후 높은 빈도순으로 설정했다.
3장에서는 평가 방식으로 CBT를 기반으로 한 말하기 숙달도 평가를 선택했고 각 문항의 유형과 예를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말하기 평가는 단일 시험이다. 토픽처럼 등급별로 시험을 따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시험을 보고 그 점수에 따라 등급을 매기는 것이 비용이나 시간 등 여러 가지 면에서 경제적이라 생각했기 때이다. 문항수는 10문항 소요시간은 약 30분으로 설정했다. 문항 유형은 KPE시험, 전나영(2007), 박동호(2012) 등을 참고하여 문항별로 수준을 나누고, 제가 연구할 시험이 중급 수준 이상의 수험자이기 때문에 중급 이상부터 고급까지의 문항유형으로 10문항을 설정하고 평가 범주별로 제시했다. 그 후 각 문항별로 예시를 제시한 내용이다. 그리고 채점방안을 마련했다. 채점등급은 1급부터 6급까지 나누었고 각 등급별로 세부 내용을 기술했다. 평가 범주별로 각 25%씩 비율을 적용하여 문항별 최소 4점, 최대 10점씩 총 100점 만점으로 평가 등급을 내리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결론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지금까지 연구가 부족했던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의 분야에서 더욱 효율적인 평가 방법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검증해 보지 못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지만, 이런 연구들을 합리적인 말하기 숙달도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초석을 다지려는 하나의 시도이자 하나의 안으로 보고, 실제로도 표준화된 말하기 평가 도구가 개발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ssessment method and a tool of Korean speaking proficiency.
In chapter 1, purposes and methods of the study are described, and preceding researches are explored. The preceding researches are classified into an assessmen...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ssessment method and a tool of Korean speaking proficiency.
In chapter 1, purposes and methods of the study are described, and preceding researches are explored. The preceding researches are classified into an assessment category, proficiency evaluation, and achievement evaluation.
In chapter 2, goals and subjects of this study are determined. Then, assessment categories are set up, and their themes and functions are suggested. The assessment categories are divided mainly into accuracy and adequacy. The accuracy category contains pronunciation and grammar, and the adequacy category contains discourse competence and sociocultural comprehension, which includes vocabulary usage and discourse construction. Functions and themes in materials distributed by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frequency, and selected.
In chapter 3, CBT-based speaking proficiency assessment is selected as an assessment method, proposing types and examples of each question. The proficiency assessment which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is a single test. Unlike TOPIK, a test by grade, it seems economical in terms of cost of time to take a single test and classify grades according to scores. 10 questions in 30 minutes of run-time are set. Referring to KPE test, Cheon Nayoung(2007), and Park Dongho(2012) the types of question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levels. Since examines with intermediate level or more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10 questions from intermediate to high level are suggested by assessment category. After that, examples of each question are listed, and grading measures are presented. From 1 to 6 grades, detailed contents are described. For assessment level, each category has 25% of full 100 marks, and each question has from minimum 4 marks maximum 6 marks.
Lastly, in chapter 4, results of the study and more efficient assessment method and improvement in the Korean speaking proficiency test are proposed. Korean speaking proficiency assessment is one of the fields that have not been researched enough. Although it leaves much to be desired that this study doesn’t include various learner groups, it can be a cornerstone to develop proper assessment tools. I anticipate actual proficiency assessment tool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