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중국어 인과관계 구문의 대조 연구 : '-아/어서'와 '因為...所以...', '-(으)니까'와 '旣然...就...'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에서는 한국중국인과관계 구문을 대조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수월하게 학습하도록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 중에 사용빈도가 제일 ...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인과관계 구문을 대조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수월하게 학습하도록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 중에 사용빈도가 제일 높은 것은 '-아/어서'이다. 중국어의 경우 이와 대응하는 인과관계 관련사가 많은데 이 관련사들의 의미와 기능이 비슷하게 나타난다. 그 중에서 가장 의미가 넓고 입말이나 글말에서 모두 사용 할 수도 있는 대표적인 관련사는 '因為...所以...'이다. 따라서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 '-아/어서'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인과관계 관련사 '因為...所以...' 의 의미적·통사적 및 화용적 특징을 먼저 살피고 대조할 것이다. 그 다음에는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 '-(으)니까'와 중국어 인과관계 관련사 '既然...就...'를 같은 방식으로 정리하고 대조할 것이다. '-아/어서'와 '因為...所以...'를 대조하는 중에 '-아/어서'는 '因為...所以...'와 마찬가지로 명령형과 청유형 제약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因為...所以...'는 설명성(說明性) 인과관계의 개념을 보일 때 한국어로 '원인'과 그 의미가 유사하다. 이 경우 '因為...所以...'는 한국어 '원인'의 의미가 강한 '-아/어서'와 대응이 된다. 그리고 '既然...就...'는 추론성(推論性) 인과관계의 의미를 보일 때 한국어로 '이유'의 의미와 비슷하다. 따라서 추론성(推論性)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既然...就...'는 '이유'의 의미가 강한 '-(으)니까'와 대응이 될 수 있다. 또한 '旣然...就...'는 통사적인 제약을 거의 안 받기 때문에 '-(으)니까'와 대응된다. 한국어의 인과관계 구문에서 '-아/어서, -(으)니까'의 구문은 중국인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외국인들이 정확하게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이 두 구문을 어떻게 하면 정확하게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였다.
'-아/어서'는 선·후행절 동일주어 관계는 수의적이다. 선·후행절 서술어는 성질상 제약이 없다. 선행절의 서술어에 시상어미 '-았-'과 결합될 수 없고 '-겠-'은 추측의 의미일 때에 한정하여 결합한다. 후행절에 명령형, 청유형, 상대방의 허락을 구하는 의문형이 올 수 없다. '-아/어서'의 의미적 특징은 객관적인 원인, 선행절의 새로운 정보를 정리하고, 친밀하고, 사교적인 느낌을 나타낸다. 원인이 되는 사건의 실제성을 가진다. '因為···所以···'는 선·후행절의 주어, 서술어는 성질상 제약이 없고 능원동사나 부사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명령형이나 청유형에 쓰일 때 선·후행절의 주어가 달라야 한다. 그리고 화용적인 의미에서 '-아/어서'는 '因為···所以···'보다 친밀한 성격이 강하다. '-아/어서'는 화자가 청자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여 청자의 궁금증을 해소해 줄 수 있는 의미 역할을 하는 반면에 대응하는 중국어 인과관계 관련사에는 이와 같은 용법이 없다. '-아/어서'가 갖는 관습상의 감사·인사·사과의 의미가 중국어 인과관계 표현과의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다.
'-(으)니까'와 '既然···就···'는 선·후행절 동일주어 관계는 수의적이다. 선·후행절 서술어는 성질상 제약이 없다. '-(으)니까'의 선행절에 선어말어미 '-았-', '-겠-'이 선행할 수 있고 '既然···就···'는 다른 능원동사나 부사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既然···就···'는 일반적으로 모든 문형에 사용할 수 있지만 평서형에 쓰일 때 주절에서 과거에 일어난 일을 나타낼 수 없고 의문형보다 반어법에 더 많이 쓰인다. '-(으)니까'는 후행절에 평서형, 청유형, 명령형, 추측의 '-겠-'과 '-(을)까'가 포함된 의문형, 상대방의 허락을 구하는 의문형이 다 가능하다. '旣然…就…'와 '-(으)니까'의 의미적 특징은 주관적인 이유, 화자 개인의 추론과정을 갖는 이유, 개인적 사리 판단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청자에게 관철시키려는 의미가 있고 불손한 느낌을 나타낼 수 있다. '-(으)니까'는 화용의미에서는 화자의 강한 주장이나 무뚝뚝한 표현과 불평을 나타낸다. '-(으)니까'는 청자와 화자가 이미 알고 있는 이유를 표현할 수 있지만 대응하는 중국어 인과관계 관련사는 이와 같은 용법이 없다.

本論文對韓國語因果關係連接詞尾和中文因果關係關聯詞進行了對比探讨,旨在考察兩種語言裡因果關係連接形式在統辭,語法和意味上的功能。並且通過此對比,發掘出韓國語因果連接詞...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