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가 어렵게 다루는 한국어 단모음을 규명하고자 음운론적이고 음성학적으로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 단모음을 대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가 어렵게 다루는 한국어 단모음을 규명하고자 음운론적이고 음성학적으로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 단모음을 대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가 어렵게 학습한다고 파악된 /ㅓ/와 /ㅗ/의 습득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 단모음의 유사점과 차이점,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ㅓ/와 /ㅗ/의 습득 양상,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ㅓ/와 /ㅗ/의 습득에 있어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단모음의 유사점과 차이점이 주는 영향에 관한 세 가지 문제를 제기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 단모음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상이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국제음성기호 혹은 IPA에 따르면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 단모음 간에 음운 표기가 서로 같은 단모음이 많다. 반면 그렇지 않은 단모음도 있다. 이는 바로 한국어 단모음 /ㅓ/이다. IPA의 기호가 /ʌ/인 /ㅓ/는 인도네시아어 단모음에 대응하지 않는다.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가 듣기에는 /ㅓ/가 인도네시아어 /o/로 들린다. 그렇지만 인도네시아어 /o/는 한국어 /ㅗ/에 대응한다. 이렇기 때문에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는 /ㅓ/와 /ㅗ/를 헷갈리게 발음하여 /ㅓ/의 발음도 /ㅗ/의 발음도 오류를 범할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한국어 단모음 중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가 어렵게 겪는 단모음으로 그들의 /ㅓ/와 /ㅗ/의 습득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선행연구들은 한국어 학습자가 /ㅓ/와 /ㅗ/의 오류를 범하는 이유는 모국어 영향에 있다고 하였다. 하지만 학습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ㅓ/와 /ㅗ/에 대한 오류가 감소되거나 발음이 개선되었다고도 밝혔다. 한국에서 거주하는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행한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학습 기간이 길어져 오류가 줄어들어 발음이 고쳐졌다고 하였다. 이는 한국에서 거주하면서 한국어를 배우기 때문에 모국어의 영향이 감소되고 목표어의 영항이 커져 한국인 화자처럼 발음했음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본고에서는 인도네시아에서 거주하면서 한국어를 배우는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ㅓ/와 /ㅗ/의 발음에 대해서 실험을 음성학적으로 할 것이다. 선행 연구에서 밝힌 것과 달리 한국인 화자와 접할 기회가 거의 없고 한국어에 대한 실제 경험이 거의 없으므로 /ㅓ/와 /ㅗ/의 발음에서 모국어 영향을 크게 받을 것이므로 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인도네시아인 학습자처럼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세 번째 문제는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단모음상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ㅓ/와 /ㅗ/의 습득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IPA를 공유하는 한국어 단모음과 인도네시아어 단모음을 볼 때 /ㅓ/를 제외하고 한국어 단모음 체계에 있는 음운 표기와 인도네시아어 단모음 체계에 있는 음운 표기는 서로 유사하다. 그렇다면 인도네시아어 단모음과 유사하지 않으므로 습득에 어려움을 줄 수 있어 한국어 단모음 /ㅓ/를 발음할 때 오류를 범할 수 있는 반면에 인도네시아어 단모음과 유사하므로 습득에 도움이 되어 한국어 단모음 /ㅗ/를 잘 발음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 단모음을 음운론적이고 음성학적으로 대조해 보았다. 음운론적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IPA 기호를 공유하는 두 언어의 단모음을 서로 대응시켜보면 /ㅏ/는 /a/에, /ㅗ/와 /o/에, /ㅜ/는 /u/에, /ㅡ/는 /ə/ 또는 /ɨ/에, /ㅣ/는 /i/에 /ㅔ/는 /e/에, /ㅐ/는 /ε/에 대응한다. /ㅟ/와 /ㅚ/는 인도네시아어 단모음 체계에 대응하지 않으나 /ㅟ/, /ㅚ/와 유사한 소리가 있다. 그러나 한국어 /ㅓ/의 소리는 인도네시아어 단모음 체계 내에 유사한 소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음성학적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 단모음은 차이점보다 유사점이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혀의 고저(F1)와 혀의 전후 위치(F2), 혀의 원순성(F3)에서 보면 두 언어의 단모음은 혀의 고저(F1)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다. F2와 F3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보였다. 음운론적으로 대조하였을 때 한국어 /ㅓ/는 인도네시아어 단모음 체계에 존재하지 않으나 음성학적으로 대조하였을 때 의외로 /ㅓ/는 인도네시아어 /o/와 F2와 F3에 있어서 차이가 없음을 보였고 다른 단모음들과 비교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F1에 있어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 단모음은 공통점이 많다고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는 1년, 2년, 3년 학습 기간에 따라 한국어 /ㅓ/와 /ㅗ/는 혀의 고저를 나타낸 F1위치에서는 한국인 화자와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한국어 /ㅓ/와 인도네시아어 /o/, 한국어 /ㅗ/와 인도네시아어 /o/는 F1에 있어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1년, 2년, 3년 학습자는 혀의 고저(F1)에 있어 단모음 /ㅓ/와 /ㅗ/의 발음을 할 때 한국인 화자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오류를 범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F2와 F3에 있어서는 3년 학습자를 제외하고 모든 학습자는 한국인 화자처럼 /ㅓ/를 발음하지 못했음을 나타냈다. 이 학습자들은 /ㅓ/를 원순모음인 /o/처럼 발음하였다. /ㅗ/의 발음에서는 1년 학습자를 제외하고 모든 학습자는 한국인 화자처럼 /ㅗ/를 발음하였고 F3에 있어서는 모든 학습자는 한국인 화자처럼 /ㅗ/를 발음하였다. 따라서 모든 학습자는 F1에 있어서만 한국인 화자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보면 오류는 모국어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3년 학습자는 F2와 F3에 있어서 한국인 화자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한국인 화자처럼 /ㅓ/와 /ㅗ/를 발음하는 것을 보면 학습 기간이 길수록 오류가 줄어들어 모국어 영향도 작아진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 단모음은 음운론적인 면에서 보면 공통점이 많고 음성학적인 면에서 보면 혀의 전후 위치, 입술의 원수성에 있어 공통점이 많다. 한국어 /ㅓ/와 /ㅗ/는 F1에 있어서 모두 인도네시아어 /o/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F2와 F3에 있어서 무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인도네시아어 단모음 음운 체계에 대응하지 않는 /ㅓ/는 음성학적으로 인도네시아어 /o/와 비교해 보았을 때 유사점이 있기 때문에 한국어 /ㅓ/는 인도네시아어 /o/에도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는 혀의 고저에 차이가 있어 /ㅓ/와 /ㅗ/를 발음할 때 한국인 화자처럼 발음하지 못하고 혀의 전후 위치와 입술 원순성에 차이가 없어 한국인 화자처럼 발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고에서는 기존에 다루어지 않았던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가 어렵게 겪는 단모음을 찾아보기 위해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단모음 대조와 어려움과 오류의 원인을 예측하기 위해 /ㅓ/와 /ㅗ/의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습득 양상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