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의사소통에서 한국어 인칭대명사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한국인과 대조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인칭대명사가 두 언어에서 어떠한 ...
이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의사소통에서 한국어 인칭대명사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한국인과 대조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인칭대명사가 두 언어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사용 양상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또한 어떠한지 대해서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 인칭대명사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한국어 1, 2, 3인칭대명사와 재귀대명사는 모두 높임 형태가 존재하지만 중국어의 경우 2인칭대명사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높임 형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 1인칭대명사 복수형인 ‘우리, 저희’는 단수의 개체를 가리키는 경우에도 쓰이지만 중국어 복수형인 ‘我们’은 그러한 용법이 없다. 한국어와 중국어 2인칭대명사는 모두 평칭과 존칭이 있다. 그러나 사용에 있어서 두 언어 간 차이가 너무 커서 일 대 일로 대응하여 번역할 수 없다. 한국어 3인칭대명사는 구어와 문어에 따른 사용 양상의 차이가 많이 나타나지만 중국어의 경우는 구어체와 문어체의 구별 없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어 재귀대명사는 단수형, 복수형과 높임 형태가 모두 존재하지만 중국어 재귀대명사에서는 이러한 구분이 전혀 없다.
다음으로 한·중, 중·한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두 언어에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인칭대명사는 1인칭대명사이며, 그 다음으로 2인칭대명사, 3인칭대명사, 재귀대명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략 횟수를 보면, 중국어에서보다 한국어 인칭대명사에서 생략 빈도가 훨씬 높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 한국어에서는 이미 서로 알고 있는 상황에서는 인칭대명사를 생략하는 경우가 빈번하지만 중국어에서는 문장의 결속을 높이기 위해 인칭대명사를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특히 주어 위치에서의 인칭대명사 생략에서 큰 차이를 볼 수 있는데, 중국어에 비해서 한국어에서 주어를 훨씬 많이 생략한다. 그 이유는 한국어에서는 대화중에 화자와 청자의 머릿속에 이미 자리를 잡은 지시 대상이 있으면 인칭대명사를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중국어에서는 주어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생략하지 않는 것이 적절하다.
지금까지 중국인 학습자의 인칭대명사 사용 양상을 대조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가 중국인 학습자뿐만 아니라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고, 차후 연구에서는 인칭대명사의 생략과 첨가에 대한 좀 더 세밀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age of Korean personal pronouns in communication by Chinese learners and compare it to native Korean speakers. Through the comparison the study also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and characteristics of p...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age of Korean personal pronouns in communication by Chinese learners and compare it to native Korean speakers. Through the comparison the study also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and characteristics of personal pronouns usage in the two languag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Korean and Chinese personal pronouns were classified by type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In Korean all first, second, third person and reflexive pronouns have honorific forms while in Chinese only second person pronouns have honorific forms. In Korean first person plural forms such as 우리 (we) and 저희 (modest form of we) are used to describe singular objects while the Chinese plural 我们 (we) is not used in this manner. Second person pronouns in both languages have plain and honorific forms, yet it is impossible to confront them one to one due t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Korean third person pronoun usage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nd no such distinction in Chinese. In Korean the reflexive pronouns have both singular, plural and honorific forms while none of them are present in Chinese.
Secondly,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existing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is as follows.
In both languages first person pronouns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personal pronouns. They are followed by second person, third person and reflexive pronouns. In Korean personal pronouns are omitted much more often than in Chinese. In other words, it is common to omit personal pronouns in Korean in a situation when the persons concerned already know each other, while in Chinese personal pronouns are used relatively often in order to strengthen the sentence unity. There is a specifically large difference when it comes to omitting personal pronouns used as subjects, i.e. subject is omitted much often in Korean than in Chinese. In Korean it is common to omit personal pronouns in a conversation when there is a clear object defined both for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On the other hand, in Chinese subject plays an important role, thus it is not supposed to be omitted.
This study comparatively examined the usage of personal pronouns by Chinese learners. I believe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not only of Chinese learners but also Korean learners of Chinese. I also hope that future studies will examine omission and addition of personal pronouns more closely.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