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의 목적·결과 관계 연결어미 습득 양상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목적 관계 연결어미 ‘-(으)러’, ‘-(으)려고’, ‘-고자’와 결과 관계 연결어미 ‘-게’, ‘-도록’의 습득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목적 관계 연결어미 ‘-(으)러’, ‘-(으)려고’, ‘-고자’와 결과 관계 연결어미 ‘-게’, ‘-도록’의 습득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밝히고 목적·결과 관계 연결어미를 연구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선행된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형태·통사적 특성에 따른 목적·결과 관계 연결어미의 습득 양상이 어떠한가, 둘째, 목적·결과 관계 연결어미 습득에 숙달도 변인이 존재하는가이다.
Ⅱ장에서는 Ⅰ장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목적·결과 관계 연결어미의 형태·통사적 특성들을 기술하여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중국어의 표현들을 정리하여 한국어의 연결어미와는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도구를 개발하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목적·결과 관계 연결어미 습득 양상을 살피기 위해 개발한 도구는 문법성 판단 테스트이다. 각 연결어미의 형태·통사적 특성이 나타날 수 있도록 80문항을 개발하여 실험을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40명으로 수도권 소재 대학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공부하고 있는 4급 이상의 학습자와 국내 대학의 학부 및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습자이다.
이어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개발한 도구로 실시한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그 결과로는 첫 번째. 목적·결과 관계 연결어미의 형태·통사적 특성에 따른 정답률의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학습자들이 목적·결과 관계 연결어미 습득에 있어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연결어미 별로 형태·통사적 특성에 따른 정답률을 비교하였는데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 연결어미마다 습득한 형태·통사적 특성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목적·결과 관계 연결어미 습득에 숙달도 변인이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하집단의 학습자보다 상집단의 학습자가 결과적으로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연결어미 사용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기 때문에 숙달도 변인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목적·결과 관계 연결어미를 대상으로 형태·통사적 특성에 주목하여 습득 양상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형태·통사적 특성을 교수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현행 한국어 교육에서 목적 관계 연결어미로 제시하고 있는 ‘-(으)러’, ‘-(으)려고’, ‘-고자’, ‘-게’, ‘-도록’을 목적 관계와 결과 관계로 나누어서 교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모두 목적의 의미를 가지고는 있지만 형태·통사적 특성이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기에 분리시켜 가르쳐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연결어미 습득의 위계화를 살필 수는 없었다. 목적·결과 관계 연결어미의 자세한 습득 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실험 도구를 다양화 한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acquisition patterns of Chinese learners for Korean language for object connective endings such as ‘-(eu)reo’, ‘-(eu)ryeogo’, and ‘-goja’ and effect connective endings such as ‘-ge’, and ‘-dor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acquisition patterns of Chinese learners for Korean language for object connective endings such as ‘-(eu)reo’, ‘-(eu)ryeogo’, and ‘-goja’ and effect connective endings such as ‘-ge’, and ‘-dorok’.
Chapter Ⅰ states the object of this study and summaries preceding studies on object·effect connective endings.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proposed and subjects of inquiry drawn up. The inquiry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quisition patterns of object·effect connective endings depending on formative·syntactic features; and second, existence or not of proficiency level variable for object·effect connective ending acquisition.
To solve inquiry subjects suggested in Chapter I, Chapter II deals with theoretical background by stating formative·syntactic features of object·effect connective endings. With listing expressions of Chinese language up, differences with connective endings of Korean language is dealt.
In Chapter III, research tools are developed. The tool, developed to assess object·effect connective ending acquisition patterns of Chinese learners for Korean language, is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To identify formative·syntactic features of each connective ending, the test is conducted by developing 80 questions. The research subjects are 40 Chinese learners for Korean language who are in the 4th level courses and higher in Korean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and those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Chapter Ⅳ states test outcomes conducted with the tools developed in Chapter III. The outcomes are as follow;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correct answer rate depending on formative·syntactic features of object and effect connective endings; but there is difference of no statistical significance so that it is confirmed that learners have similar patterns in terms of object and effect relations connective ending acquisition. The comparison of correct answer rate in line with formative and syntactic features by each connective ending illustrates different tendencies so that it might be considered each connective ending has different acquired formative and syntactic features. In addition, existence of proficiency level variable for object·effect connective ending acquisition is searched. The existence of proficiency level variable is confirmed with higher correct answer rate of learners in advanced group than in beginner group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ost connective ending use.
Last but not least, Chapter V propos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nd suggests significances and limits of this study. Based on such outcomes, the necessity for teaching formative·syntactic featur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onfirmed and the requirements are indicated for categorized teaching of ‘-(eu)reo’, ‘-(eu)ryeogo’, ‘-goja’, ‘-ge’, and ‘-dorok’ which are suggested as object connective endings in conven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into object and effect relations. All of them have meanings of objects; but formative and syntactic features have different tendencies so that they should be taught by separating them.
But it is difficult for the study to deal with hierarchy of connective ending acquisition so that following studies with diversified experimental tools are expected to observe detailed acquisition patterns of object·effect connective endings.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