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격한 다문화 학생 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의 영어교실은 아직 이 학생들을 충분히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먼저 학습을 공동체 안에 위치...
최근 급격한 다문화 학생 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의 영어교실은 아직 이 학생들을 충분히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먼저 학습을 공동체 안에 위치시키는 실천공동체 관점을 이용하여(Lave & Wenger, 1991), 학생들의 영어 공동체 참여와 정체성을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영어학습에 있어서의 공동체 자원과 상대적 유리점과 불리점이 확인되었다. 실천공동체 관점과 함께, 비판적 교육학 관점 또한 한국 사회 안에서의 다문화 학생들의 상대적 위치를 조사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 연구는 다문화 학생을 위한 복지센터 두 곳에서 이루어졌다. 외국인 노동자 가정 자녀 2명과 국제결혼 가정 자녀 2명으로 이루어진 4명의 중학생 핵심 참여자들이 모집되었다. 추가적으로, 이 학생들의 자원봉사 교사들과 담당 사회복지사도 이 연구에 참여했다. 데이터는 반구조화된 인터뷰와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Glaser와 Strauss(1967)의 기반이론에 근거하여 분석되었다.
다문화 학생들의 영어 공동체 참여는 참여자들마다 매우 다른 양상을 보였다. 목표와 꿈을 영어 공동체 안에 위치시킨 참여자들은 영어의 상상 공동체를 성공적으로 만들어냈고 이 공동체에 참여하고자 하는 소망을 보였던 반면, 영어가 의사소통 목적으로 쓰인다는 사실도 인식하지 못한 참여자들은 영어 공동체를 발전시키지 못한 대신 필연적 제2언어 자아(Dörnyei, 2005, 2007)가 동기요인으로 작용했다.
영어 이외의 다른 언어 공동체 및 참여자 개인의 공동체 자원, 유리점과 불리점은 영어 공동체 참여에 영향을 주었다. 다문화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는 모든 언어 공동체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었고, 서로에게 영향을 주었다. 참여자들에게 주어진 공동체 자원은 참여자들마다 매우 달랐는데, 접근 가능한 자원이 모자라 어려움을 겪고 있던 참여자가 있던 반면 자기 주변에 자원이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참여자들 역시 존재했다.
비판적 관점으로 다문화 학생들의 영어학습을 바라보면, 이 학생들의 한국어나 영어를 제외한 언어적 자원은 저평가되었다. 이에 더하여, 학교에서 다루는 영어가 아닌 다른 영어의 다양한 형태는 표준 영어로부터 이탈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다문화 학생으로서의 정체성은 부정적 의미를 함축하였고, 따라서 다문화 학생들의 한국 사회 참여를 소외시켰다.
이 연구는 영어학습은 언어 공동체에 상황적으로 위치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원하는 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의사소통수단으로서의 영어로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다문화 학생들의 영어학습은 이 학생들이 합법적 참여권을 갖고 있는 다른 언어 공동체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영어학습은 가치중립적인 과정이 아니므로, 다문화 학생들의 상대적으로 소외된 사회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감수성이 요구된다.
Although the population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or Damunwha students, is rapidly increasing, English classroom in Korean society is not yet fully prepared to embrace the students. In addressing this issue, this study examined...
Although the population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or Damunwha students, is rapidly increasing, English classroom in Korean society is not yet fully prepared to embrace the students. In addressing this issue, this study examined the students’ English learning from Communities of Practice (CoP) perspective, which situates learning in the community (Lave & Wenger, 1991). With this theoretical viewpoint, community resources, their relati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English learning were identified. In conjunction with the CoP perspective, critical pedagogy was embedded to observe the Damunwha students’ relative position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took place in two welfare centers for Damunwha students. Four core participants in middle school age, consists of two students from foreign workers’ family, and two students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were recruited. Additionally, their volunteer teachers and their supervisors participated as well. Data sources included semi-structured interviews, open-ended questionnaire on life history and English learning history. The data were analyzed from a grounded theory perspective (Glaser & Strauss, 1967).
The study revealed that the Damunwha students’ participation into English language community widely varied across the participants. Factors contributed to such variation included their future dreams, needs to study English, perceived importance of English, and the realization of English for communication. Participants who aligned their goals and dreams with English language community successfully created an imagined English community and showed desire to participate in, whereas other participants were externally motivated by their ought-to English selves (Dörnyei, 2005, 2009).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use of available resources for English learning was varied according to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their meaningful realization of the resources.
Approaching their English learning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e students’ linguistic resources other than Korean and English were depreciated. In addition, a variety of English other than the English taught in school was considered as a deviation. In this context, Damunwha students’ values and assets were undervalued. Moreover, their identities as Damunwha students shaped by a country less developed than Korea connoted derogatory sense, thereby marginalizing the students from the Korean society.
This study implies that English learning could be situated into language communities,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used to negotiate participation into the students’ desired community. As for Damunwha students’ English learning, it should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other language communities they have a legitimate membership. Moreover, the sensitivity to recognize the students’ relatively marginalized position than others to learn English should be required, as English language learning is not a value-free, neutral process.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