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교재 개발 연구
중국내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습자의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한국어교육 기관에서 공부하는 ...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교재 개발 연구
중국내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습자의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한국어교육 기관에서 공부하는 학습자에 비해 중국 현지에서 공부하는 학습자에게는 말하기를 할 기회가 부족하다. 현재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 학과에서 사용하는 말하기 교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교재의 주제, 기능 및 과제 활동이 학습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교재의 실용성이 떨어지고, 번역 오류들이 발견되었으며 또 교재의 주제가 중국과 중국인 학습자의 학습 특징과 잘 연결되지 못하여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현지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다양한 주제, 기능 및 과제 활동이 포함되며 중국과 중국인 학습자의 학습 목표와 학습 특징에 잘 부합하는 말하기 교재를 개발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했다.
논문 2장에서는 먼저 학문 목적 말하기 교육 및 교재 구성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현재 중국 현지 대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말하기 교재 다섯 권을 선정하여 교재의 외적 구성과 내적구성 두 부분으로 나누어 교재의 주제, 기능 및 과제 활동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재 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중국내 세 대학교의 한국어 학습자 48명이며 설문조사의 내용은 인적사항, 말하기 학습 현황, 그리고 말하기 교재의 주제, 기능 및 과제 활동에 대한 요구사항 세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요구 조사를 통해서 학습자의 말하기 학습 기간, 교재의 대한 만족도, 말하기 난이도에 대한 인식, 또 학습자가 선호하는 말하기 주제, 기능, 과제 활동 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앞서 진행한 교재 분석 결과와 학습자 요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개발하고자 하는 말하기 교재의 구성 및 단원 모형을 구성해 보았다. 교재의 구성 체계는 크게 도입부, 전개부, 정리부로 구성하였으며 도입부는 단원명과 학습 목표, 도입 사진과 질문 등으로 구성하였다. 전개부는 주제와 관련된 예시 대화를 비롯하여 네 개의 과제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정리부에서는 각 단원의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지를 학습자가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자기 평가 부분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지역 간의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 본고에서 중국 서부 지역, 중부 지역 및 남부지역의 세 개의 대학교에서 사용되는 교재를 분석하고 각 대학교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나 한국어교육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동부와 북부 지역의 상황은 파악하지 못하였다. 또 등급 분류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이러한 한계점과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 향후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Korean language majoring students at Chinese University are increasing exponentially. But Comparing with the students studying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the opportunity of speaking to students who studying in
China is insufficient. In fac...
Korean language majoring students at Chinese University are increasing exponentially. But Comparing with the students studying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the opportunity of speaking to students who studying in
China is insufficient. In fact in addition to painting classes, they do not have time to practice Korean speaking opportunities. Through the use of Chinese university Korean textbook analysis, the subject of books, functions, and challenge activities failed to fully reflect the needs of learners dropping the practicality of materials and translation errors were discovered. It was showed
that the subjects of materials are not associated with Chinese students'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speaking materials for Chinese
local students are required which reflecting the needs of learners, including variety of topics, functions and task activities and fitting well with China and the Chinese learners'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characteristics.
Inspired by this point, in chapter 2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extbook theories about the configuration was investigated firstly. Next, in chapter 3 five speaking textbooks current in use in China at the University have been selected and then they were analyzed the materials' subject, functions and activities in two parts of the inner configuration and the external configuration.
Questionnaire is targeted at China three universities 48 students and the questionnaire content includs personal information, verbal learning, as well as preferred teaching topics, functions and activities. Verbal learning time,
satisfaction of the material and students' favorite topics, functions and activities. Prior to the adoption of textbooks and survey analysis I prepared for the Chinese students in Korean speaking materials. Materials is organized by
introduction, texts and summary. The introduction is composited by section title,learning objectives and pictures. The texts are composited by example
conversation and four task activities. And the summary part is composited by self-evaluation which can be used whether they evaluated the learning goals. But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First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gional has not be considerated comprehensively. In this research the situation
only in western, southern and central China regions was analyzed and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urvey are from these schools. The situation in the eastern and northern regions where Korean education is actively conducted could not be understand. Also, classification criteria are not clear. Materials developed i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intermediate materials and the target
learners of the questionnaire are all university sophomore but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each grade classification grades two is not clear. Therefore
classification of components is redefining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efforts are needed to reclassify. In order to improve the shortcomings, it still needs a lot of
effort in the future.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