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개요
전 세계적으로 물적, 인적 자원의 교류가 빈번해지는 현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국가와 민족 고유어에 대한 경계 개념이 희미해지면서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에 대한 논의가 ...
논문 개요
전 세계적으로 물적, 인적 자원의 교류가 빈번해지는 현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국가와 민족 고유어에 대한 경계 개념이 희미해지면서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 지고 있다. 세계화의 시대에서는 ‘영어’를 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인식이 되어 우리나라의 ‘세계화’ 물결의 중심에는 ‘영어 능력 향상’이라는 정책이 자리해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 날이 갈수록 공교육과 사교육에서 영어교육이 강화되어 사회와 문화가 개방됨에 따라 아동기에 해외 체류 경험을 하고 영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이중언어자가 대량 생산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특별히 청소년기의 발달 과정상 개인의 언어 정체성과 문화 정체성을 형성하고 확립하는 시기라는 점에 중요성을 두고 청소년 집단 중 이중언어자와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구사하는 이중언어자들은 한국어를 단일어로 말하는 화자와는 다른 언어 정체성과 문화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였다. 우선, 언어 정체성과 사회/문화 정체성을 측정하는 두 가지 설문도구를 이용하여 연구 표본 청소년들의 언어에 대한 인식과 한국과 미국의 사회/문화에 대해 어떤 속성을 중심으로 인식하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영어의 사회적 기능과 이중언어자를 생산하는 사회구조를 이해하고자 문화자본론적 접근에서 영어-한국어 언어수행능력과 부모의 사회경제지위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사회에서 영어의 위상을 논하였다.
설문 조사로부터 수집된 334명의 데이터는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어 이중언어자와 한국어 단일어 화자들 사이에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인식구조 차이가 존재하는지 밝히고 여러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언어정체성 인식은 언어능숙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두 집단 사이에 한국어와 영어 인식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한국어 능숙도가 높을수록 한국어 언어정체성 인식이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영어능숙도가 높을수록 영어 언어정체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문화정체성 인식에 대해서는 ‘귀속’ 요인을 제외하고 다른 요인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중언어자들은 미국사회와 문화에 속해있다고 느끼는 ‘귀속감’과 ‘선호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 연구표본 청소년들의 한국과 미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많지 않을뿐더러 그들의 언어능숙도가 이러한 인식과 상관관계에 있지 않다는 것이 통계 분석을 통해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들이 스스로 평가한 ‘문화 소속 위치’ 문항에서도 문화소속지수가 언어능숙도와 상관관계에 있지 않다는 결과는 문화정체성 설문 분석 결과와 일맥상통한다. 이중언어자와 한국어 단일어 화자들 사이에 언어정체성 인식에는 차이를 보이지만 사회/문화 정체성 인식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결과의 원인을 최근 우리나라 문화의 탈 전통성과 다원화된 사회, 문화적 교육효과로 설명하였다. 또한 국내에 거주하는 이중언어자와 한국어화자 청소년들은 대부분 비슷한 생활양식 속에 살면서 일상생활에서 그들이 누리는 대중문화도 다르지 않기 때문에 공통된 문화의 특정 요소를 이미 내면화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이중언어자와 한국어 단일어 화자들 사이에 사회경제적지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본 청소년들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언어능숙도의 관계에서는 영어능숙도가 높을수록 사회경제적지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여러 선행연구에서 우리나라에서 이중언어자를 생산하는 구조는 사회·경제적인 요소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주장과 일치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우리나라에서 ‘영어’라는 언어의 위상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 결과를 통해 영어능력이 우리 사회에서 ‘문화자본’으로 기능하고 있다고 추측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언어, 사회/문화 정체성 인식에 대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주관적이고 정성적 개념인 정체성을 계량화된 수치로 변환하고 분석하여 설문 참여 청소년들의 영어와 한국어 언어 수행 능력에 따라 각 언어와 사회/문화에 대한 인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그들이 언어, 사회/문화정체성을 형성하고 확립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