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관형사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은 중국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관형사에 대하여 생소함을 느끼는 점에 대하여 분석하고, 한국어 관형사에 대응하는 중국어와 그 결합 양상에 대하여 살피었다. 그리하여 중...

본 논문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관형사에 대하여 생소함을 느끼는 점에 대하여 분석하고, 한국어 관형사에 대응하는 중국어와 그 결합 양상에 대하여 살피었다. 그리하여 중국어 학습자들이 실제 문장이나 발화에서 정확하게 관형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 최종 목적이었다.
먼저 한국어 어휘 교육에 관한 연구의 주제별 동향에 대하여 살피었는데, 한국어 및 중국어의 품사에 대한 대조적 연구에서 단위성 의존명사와 양사의 대조가 제일 많고 그 뒤로는 형용사, 동사, 감탄사의 대조로 영역을 넓혀갔다. 그러나 관형사와 같은 한국어의 고유 품사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다만 관형사형 어미나 관형어에 대한 일부 연구만 존재하는 것이 실정이었다. 대조적인 연구가 아닌, 오로지 한국어 단어의 경계 그리고 품사의 설정에 있어서만 진행되었던 연구를 발전시켜 한국어 학습자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진행하게 된 것이다.
2장에서는 형태적 및 통사적 특징, 그리고 의미적 특성에 근거하여 관형사의 판별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관형사에 대하여 판정을 하고 하위분류를 진행하였다. 관형사의 판별기준을 첫째, 뒤에 따르는 체언의 뜻을 분명히 하고 둘째, 조사나 어미가 결합할 수 없어 활용을 할 수 없으며 셋째, 뒤에 따르는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을 하지만 자립성이 없다고 설정하였다. 판별한 관형사를 다시 ‘지시 관형사’, ‘수 관형사’, ‘성상 관형사’로 분류를 하고 표를 작성하여 중국어와의 대조를 위하여 준비를 하였다.
3장에서는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의 품사체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 언어의 품사체계가 다르다는 점을 인정을 하고, 한국어 관형사에 대응을 하는 중국어의 품사와 문법적 자질에 대하여 살펴보고 일반적인 대응 양상 및 결합 양상을 도출해냈다.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unfamiliarity with Korean determiners among Chinese people who learn Korean language, and investigates Chinese counterparts of Korean determiners and the aspects of their combination.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help ...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unfamiliarity with Korean determiners among Chinese people who learn Korean language, and investigates Chinese counterparts of Korean determiners and the aspects of their combination.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help Chinese people learning Korean language use determiners accurately in their sentences or utterances.
Firstly, this study reviews the thematic trends in prior studies on teaching Korean vocabulary, and points out that most of contras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parts of speech have focused primarily on comparisons of unit-dependent nouns and quantifiers followed by those of adjectives, verbs and interjections from a broader perspective. Nonetheless, studies on original parts of speech in Korean language such as determiners have not been conducted to the exclusion of some research on adnominal ending forms or words. In lieu of contrastive studies,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by extending the scope beyond word boundaries and establishment of parts of speech.
Chapter 2 is based on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attributes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identifying determiners, and applies the criteria to the process of deciding determiners followed by sub-categorization. The criteria established here for identifying determiners include: first, clarifying the meanings of substantives ensuing; second, no applicable and combinable postpositional particles or endings; and third, having no independence despite the function to modify nouns following. Determiners identified as such are sub-categorized into 'descriptive determiners', 'quantitative determiners' and 'demonstrative determiners,' all of which are tabulated for comparative purposes with Chinese counterparts.
Chapter 3 elucidates the system of parts of speech in Korean and Chinese. Then,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wo languages have different systems of parts of speech, Chinese parts of speech and grammatical properties corresponding to Korean determiners are examined to elicit overall aspects of correspondence and combination.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