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요약
본고는 한국어 심리형용사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비교․대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2장에서는 먼저 한국어 심리형...
국문 요약
본고는 한국어 심리형용사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비교․대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2장에서는 먼저 한국어 심리형용사의 의미적 정의를 정립하였다. 이 표층적 정의에 따라서 주체의 감정을 유발하는데 외부 자극이 없는 경우, 외부 자극이 원인인 경우와 대상인 경우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서 심리형용사를 분류하였다. 또한 여러 학자의 논의에 근거하여 각 유형의 격틀을 설정하며 심리형용사의 판별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한국어 심리형용사의 범주 설정하는데 실제 예문을 보면 각 유형의 심리형용사를 완벽히 나눌 수는 없었다. 그래서 더 명확한 심리형용사 범주를 설정하기 위하여 세 가지 이론적 유형의 심리형용사 범주 설정을 시도했을 때 나타나는 겹친 경우의 종류에 따라서 다시 2차 유형 분류를 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의 자세한 심리형용사 범주를 설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문장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한국어 심리형용사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의 문법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 부분에서 한국어 심리형용사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가 문장 속에서 서술어, 관형어, 부사어, 주어, 목적어, 보어 기능을 할 때 형태론적 특성, 통사론적 특성, 의미론적 특성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고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대조하였다. 그 중에서 서술어 부분을 위주로 어미와의 결합제약, 주어의 인칭 제약, 서술어의 자릿수, 부사의 수식, 부정 표현, 시상 표현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서 대조하였다.
마지막 4장은 결론 부분으로 본고의 내용을 간추렸다. 본고에서 논의한 한국어 심리형용사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가 각 문장 성분 기능을 할 때 나타난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이 일목요연하게 제시되었다.
본고는 한국어 심리형용사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의 통사·의미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대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논문은 한·중 심리형용사 대조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지 못하는 상태에서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리고 한·중 심리 표현이 표면-심층, 문법적-의미적 사이에 추상적이고 복잡한 관계를 지니는 까닭에 연구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앞으로의 공부를 통해 본고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이 주제에 대해 더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겠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