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실험음성학적 방법을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화에 나타난 종결기능 연결어미의 억양 실현 양상을 비교 분석하면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서 실...
본 연구는 실험음성학적 방법을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화에 나타난 종결기능 연결어미의 억양 실현 양상을 비교 분석하면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서 실현하는 문미 억양구 경계성조의 특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든, -는데, -다고, -(으)ㄹ텐데, -려고, -다면서’ 등 여섯 개 사용빈도가 높고, 의미에 따라 다른 억양 패턴이 실리는 현상이 일어나는 종결기능 연결어미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음성 실험의 참가자는 한국인 화자와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에 한정하였다. 음성자료의 편집과 분석은 Praat를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주로 문미 억양구 경계성조의 유형을 살펴보고, 경계성조의 억양 패턴 내 평균 피치 증감폭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그리고 연구 내용 및 방법을 제기하고,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종결기능 연결어미에 관한 논의들을 검토하였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운율 체계, 그리고 억양의 유형과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3장은 세 소절로 구성되었는데, 1절에서는 실험 대상자, 실험 절차 및 분석 방법, 그리고 어미 항목과 실험 문장의 선정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고, 2절에서는 한국인과 중국인 학습자의 발화에 나타난 종결기능 연결어미의 구체적인 억양 실현 양상을 남녀별로 따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3절에서는 위의 분석 결과들을 정리하고, 한국인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발화에 나타난 종결기능 연결어미의 억양 실현 양상에 대해 종합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국인 남성 학습자의 발화에 나타난 종결기능 연결어미의 문미 억양은 주로 L%로 실현되었고, 의미별로 억양을 구분하지 못하고 있으며, 중국인 여성 학습자의 경우 문미 억양구 경계성조는 주로 L%나 H%로 실현되었고, 종결기능 연결어미의 의미에 따른 문미 억양의 구분이 어느 정도 실현되었는데, ‘-다고’, ‘-려고’, ‘-다면서’ 등 종결기능 연결어미의 경우 문미 억양은 한국인 화자와 어긋난 양상을 나타냈다. 이는 주로 중국인 학습자가 종결기능 연결어미의 용법 의미와 그에 따른 문미 억양의 실현 양상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모국어의 간섭 작용과 발화 습관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볼 때, 한국인 화자는 구어체에서 문미 억양을 매우 다양하게 실현되었고, 대체로 종결기능 연결어미의 의미별로 문미 억양구 경계성조가 다르게 실현되고 있는데, 이와 반대로 중국인 학습자는 모국어에서의 단조로운 문미 억양 구조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문미 억양구 경계성조는 대부분 단순한 하강조나 상승조로 실현되었다.
,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