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 및 교사-유아관계와 다문화가정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경남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 및 교사-유아관계와 다문화가정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경남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만 4, 5세의 다문화가정 유아를 담임하고 있는 교사 52명과 그들이 담임하고 있는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유아 52명이었다. 다문화가정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김명순? 김길숙?박찬화(2012)가 개발한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 측정에는 Guyton과 Wesche(2005)가 개발하고 김현경(2009)이 사용한 다문화적 효능감 척도(MES)를 사용하였고, 교사-유아관계 측정에는 Pianta(1994)가 개발하고 이영?김명순(1999)이 번안한 교사-유아 관계성 척도(STRS)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을 실시하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부분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놀이성은 보통 수준 이상의 평균을 나타내었고, 하위범주별로는 즐거움의 표현, 자발적 몰입, 주도적 참여, 인지적 융통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유아의 놀이성은 유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여아가 남아보다 놀이성이 높고 놀이에 더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문화가정 유아의 놀이성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한국어 소통능력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다문화가정 유아의 한국어 소통능력이 높을수록 유아의 놀이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는 놀이 중에 더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인지적 융통성을 보이며, 즐거움을 표현하고, 자발적으로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성별과 한국어 소통능력을 통제하고 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과 다문화가정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놀이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는 놀이 중에 더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인지적 융통성을 보이며, 즐거움을 표현하고, 자발적으로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성별과 한국어 소통능력을 통제하고 교사-유아관계와 다문화가정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사-유아관계가 좋을수록 유아는 놀이 중에 더 자발적으로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유아관계에서 친밀감이 높을수록 유아는 높은 놀이성을 보이며 놀이 중에 더 주도적 참여하고 즐거움을 표현하며 자발적으로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문화가정 유아의 놀이성은 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 및 교사-유아관계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놀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에게 다문화적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재교육 기회가 다양하게 주어져야 할 것이며, 다문화 가정 유아와 긍정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지원이 요구된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