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대조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먹다’류 동사를 중심으로 한 연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의 대응 양상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는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대응 표현 ...
본 연구에서는 대조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먹다’류 동사를 중심으로 한 연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의 대응 양상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는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대응 표현 간의 차이점 및 표현 특징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먼저 연구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하고, 구체적인 연구 절차를 제시하였다. 한국어 ‘먹다’류 동사 및 한국어 연어에 관한 기존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고, 어떤 문제점이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대조언어학, 연어, 그리고 ‘먹다’류 동사에 외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연어의 개념, 유형, 연어와 관용어를 구분 짓는 특징에 관한 이론들을 정리한 후, 대조언어학의 개념 및 의의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대조를 위한 한·중 ‘먹다’류 동사와 관련된 연어 표현을 분류했다.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사전』에 제시된 동사 ‘먹다’, ‘마시다’, ‘들다’와 관련된 연어 표현을 선정하여 중국어 대응 표현을 찾았다.
4장은 3장에서 살펴본 한·중 ‘먹다’류 동사와 관련된 연어 표현을 바탕으로 어휘적 관계 두 가지 측면으로 대조 분석을 하였다. 어휘적 관계에서 먼저 동사 ‘먹다’, ‘마시다’, ‘들다’의 기본 의미와 확장 의미를 구별하여 관련된 한국어 연어 표현과 중국어 대응 표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통사적 관계는 한국어 연어의 유형에 따라 주술관계 연어, 목술관계 연어와 수식관계 연어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본 연구 전체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하면서 마무리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모국어의 부정적 영향을 최대한 줄이고, 연어 표현에 대한 정확한 이해 및 표현의 차이점 등에 대한 살펴보았다.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 ‘먹다’류 동사와 관련된 연어 표현을 통한 한국어 어휘에 학습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thesis aims at contrast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verbs related to 'eat' collocation terms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purpose on the study is to help improve Chinese natives in understanding Korean collocation.
The struc...
This thesis aims at contrast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verbs related to 'eat' collocation terms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purpose on the study is to help improve Chinese natives in understanding Korean collocation.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is study are organized as follows:
In chapter one, the author makes a literature review to explain the background and pro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n review the previous studies of the verbs related to 'eat' and collocation.
In chapter two, sums up the established theories concerning lingutstic contrastive, collocation, and the verbs related to 'eat' which have been main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n chapter three, mainly explain how to extract the Korean collocations focusing on the frequently used verbs related to 'eat' and the methods about the contrastive analysis of their Chinese terms.
In chapter four, the author compared the collocations expressed in Korean and Chinese in two directions of view.
Lastly, in chapter five conclude and summarizes the whole study and proposes on the direction of subsequent researches.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and important to learn vocabularies by collocation terms which Chinese native students can practically improve their expression skill more naturally and fluent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omparing the difference and finding the specificity about the collocation expressions between two languages. Hope the study will trigger serise of researches about collocation expressions.
Key words: Collocations, contrastive analysis, 먹다(meokda)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