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생활문이 갖는 비중이 크고 그 교육적 가치가 충분한데 반해 생활문 쓰기 지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생활문...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생활문이 갖는 비중이 크고 그 교육적 가치가 충분한데 반해 생활문 쓰기 지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생활문 쓰기 지도 방안을 연구하기 위한 하나의 기초 작업으로서 학습자의 생활문 쓰기 양상을 분석한다.
분석은 한국어 담화 공동체가 한국어 학습자에게 요구하는 생활문이 갖추어야 할 격식과 관련된 양상을 살피는 것이다. 이것은 한국어 생활문 쓰기의 목표가 급이 올라갈수록 글의 격식을 갖추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분석을 위해 배경 이론으로 제시한 것은 장르 중심 쓰기인데 장르 중심 쓰기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개념이 맥락이고 맥락은 글이 갖는 격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맥락은 특정 담화 공동체에서 글이 갖는 의사소통 기능이 적절했는지를 판단하는 하나는 큰 기준이 된다. 이는 구체적으로 글쓰기에서 필자가 지켜야 하는 일종의 규범이 되어 발현되는데 이는 글이 갖는 격식성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장르 중심 쓰기 이론의 중심에 있는 맥락과 이와 관련하여 나타날 수 있는 글의 격식과 관련된 양상을 각각 텍스트 구조와 어휘· 문법적 차원으로 나누어 학습자의 생활문 쓰기에서 나타나는 격식과 관련된 양상을 분석한다.
분석에서 나타난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맥락 차원에서는 독자와의 사회적 관계 설정과 독자 요구 사항에 대한 인식에 관련된 양상이 발견되었다. 두 번째, 텍스트 구조 차원에서는 주제 접근을 위한 정보제시, 논리적 의미 관계 확장, 담화 표지의 사용과 관련된 양상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어휘· 문법 차원에서는 경험적 글쓰기의 어휘 사용, 부정형의 선택, 종결 어미의 선택, 시제의 사용에 관련된 양상이 발견되었다.
분석 결과를 통해서 본 생활문 쓰기의 격식과 관련된 양상은 특히 텍스트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두드러졌는데 이는 글이 갖는 격식성이 텍스트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매우 큰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 생활문 쓰기가 지향하고 있는 담화 격식에 맞는 글쓰기를 지도하기 위해서는 텍스트의 구조적 측면에 보다 관심을 두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은 어휘·문법의 사용과 같은 미시적인 구조에서부터 문단의 구성에 관여하는 거시 구조 그리고 이를 전체적으로 묶는 가장 큰 틀의 개념인 최상위 구조에 이르는 각 층위의 구조를 연계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해야 하겠다.
The accounts for a large part of Korean writing education and is a valuable genre students need to learn. Nevertheless, few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about the instruction of writing. This study, therefore, analyzed the writing p...
The accounts for a large part of Korean writing education and is a valuable genre students need to learn. Nevertheless, few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about the instruction of writing. This study, therefore, analyzed the writing patterns of learners of Korean as a basic work to study instruction methods of writing for the learners.
The analysis represented an examination of the patterns related to the formality of s the discourse community requires learners of Korean to become acquainted with. This is based on the tendency that the mor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the more emphasis is given to acquiring the formality of writing in setting the goal of Korean writing.
Genre based writing is presented as a background theory for the analysis. In genre based writing, context is a very important concept. It has a great effect on the formality of writing. It is also an important criterion that judges whether writing played a communication function appropriately in a discourse community. Context is manifested specifically as a sort of rules writers should observe in writing and is closely related with the formality of writing. Therefore, this study divided context, the crucial concept of genre based writing theory, and the patterns related to the formality of writing, which can be manifested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in terms of text structure, vocabulary and grammar. After that, the patterns related to the formality that appears in learners' writing wa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the following patterns were found. First, with regard to context, the pattern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establishment of social relations with readers and the demand of readers was found. Second, with regard to text structure, the pattern related to presenting information for access to theme, the extension of logical meaning relation, and the use of discourse cover was found. Finally, with respect to vocabulary and grammar, the pattern related to use of vocabularies of empirical writing, the selection of negative type, selection of final endings, and the use of tense was fou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tterns related the formality of writing was conspicuous especially in the structural aspect of text.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formality of writing is highly affected by the structural aspect of writing. Therefore, in order to instruct writing that fits into the formality of discourse, the type pursued by writing lessons in the education of Koreans, emphasis should be given to the structural aspects of text. This should be done systematically by linking the structures of all levels from microscopic structure, such as the use of vocabulary and grammar, to macro structure involved with structuring paragraphs and the highest level structure, the concept of the largest framework that combines all the structures.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