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篇论文主要探讨中韩请求对话中所体现的恭顺表现形式的共同点和异同。通过对中韩请求对话的结构和恭顺表现形式的比较,以及对韩语学习教育中所需要的中文类似对比语句的略论,揭...
本篇论文主要探讨中韩请求对话中所体现的恭顺表现形式的共同点和异同。通过对中韩请求对话的结构和恭顺表现形式的比较,以及对韩语学习教育中所需要的中文类似对比语句的略论,揭示了韩语中所存在的语气对语言表达恭顺程度具有重要的意义。
日常生活中向对方提出请求时,韩语论文网站,往往会给对方带来一定的负担,恭顺表现形式的存在则可以顾及被请求对象的颜面并减少双方的负担,这恰恰是恭顺表现存在的价值。本文的探讨对象正是请求对话中的恭顺表现形式。在请求对话的恭顺表现这一领域中,英语,日语与韩语的对比探讨成果较为突出,反之,中文与韩文的比较探讨则相对稀少。所以本文对比略论了中韩请求对话中的恭顺表现,以期能为韩语学习者提供更好的学习措施。电视剧是一个国家文化的镜子。因此本篇论文以电视剧对话为探讨标本,通过对现实写照电视剧对话台本的筛选略论来体现中韩请求对话中的恭顺表现异同。
第三章对比中韩请求对话的句子结构进行了略论,并将其分成直接请求和间接请求两种形式来进行对比。并且针对中韩两国语言表现中存在的对应活用关系展开了详细的阐述。关于中韩再请求对话中常常使用的句型也进行了对比略论。
第四章主要对比略论请,帮,试试,吧,能,免费韩语论文,不能,等中韩请求对话中常用句型。找出相似点和不同点,其中突出不同点,以达到减少母语对汉语圈韩语学习者的作用,使其可以更准确的应用这些易混淆的句型。
第五章整理总结本文上述所论及的中韩请求对话中的相似点和不同点,并且强调了韩语请求对话中语气的存在,以及通过语气可以提高恭顺性的问题。在实际韩语教学中应该引领学生加强对语气的重视,以及帮助学生如何通过语气来准确表达语义。
希望通过本文的探讨,能够为韩语学习者提供一定程度的帮助,并且有助于提高中韩互译的准确性和完整性。本论文重在强调韩语教学中语气的重要性,同时期望后续韩语语气词教学方案的研究开发。
이 논문은 한·중 요청화행에서 나타나는 공손표현의 차이점을 알아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한중 요청화행 구조와 공손표현을 비교하였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에게 교육이 필요한 ...
이 논문은 한·중 요청화행에서 나타나는 공손표현의 차이점을 알아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한중 요청화행 구조와 공손표현을 비교하였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에게 교육이 필요한 문형 중 중국어와 유사한 몇 가지를 선택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어 요청화행 교육에서 억양으로 공손성을 높이는 것을 밝히는 목적도 있다.
일반적으로 대화 할 때 상대방에게 요청을 하면 그 대화 참여자들은 모두에게 상당히 부담을 느끼는데 상대방의 부담을 줄이거나 체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항상 공손표현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 공손표현이 바로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이다. 요청화행의 공손표현 비교연구 성과는 영어와 일본어에서만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어에서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한중 요청화행의 공손표현이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는 한편, 이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좋은 학습방법을 찾는다면 좋겠다는 생각에 이 논문을 쓰게 됐다. 드라마는 한 나라의 생활과 문화의 거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드라마 대화를 통해서 한국인 화자의 화용적인 공손표현을 검토하고 중국인 화자의 공손표현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중 요청화행의 문장 구조 대비를 하고 직접화행과 간접화행으로 나눠 문장유형에 따른 공손표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한중 양태 표현의 화용적인 대응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중 재요청의 보조 화행 유형을 비교분석을 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 화자와 외국인 학습자의 요청화행 전략 중 박지영(2006)에서 정리한 학습자에게 교육이 필요한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문형을 바탕으로 중국어와 유사하기 때문에 중국인이 오류를 많이 보이는 몇 가지를 선택하여 중국어 공손표현과 비교 분석하였다. 따라서 ‘(으)세요’, ‘아/어/여 주세요’, ‘아/어/여 보세요.’ , ‘-자’, ‘-(으)ㄹ 수 있다’,‘ -(으)ㄹ 수 없다’, ‘못’ 등 예를 들고 드라마대본의 화용적인 공손표현의 분석을 통해 한중 공손표현을 비고하고 사회관계적 화용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위에서 나온 한중 양국 활용적인 공손표현의 차이점을 다시 정리하고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억양이 존재하는 것을 강조하고, 특히 요청화행을 교육 할 때 억양을 이용한 교육방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 요청발화의 공손표현의 유사점과 차이점 비교 분석을 하는 한편, 이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자연스러운 한국어를 사용하여 한국어 의사소통에 성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