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현대 한국어와 중국어의 두루 높임 호칭어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두루 높임 호칭어의 유형과 쓰임 등을 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
이 논문은 현대 한국어와 중국어의 두루 높임 호칭어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두루 높임 호칭어의 유형과 쓰임 등을 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을 제시하고, 학자들의 선행 연구 성과를 검토하였으며, 연구 대상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호칭어에 대한 정의를 검토해 보고, 두루 높임 호칭어의 정의를 내렸다.
제3장에서는 일상 공간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두루 높임 호칭어에 대해서 일반 호칭어와 친족 호칭어 두 가지 유형으로 크게 나누어 쓰임을 분석하였다. 일반 호칭어는 다시 직함을 이용한 호칭어, 연령대를 기준으로 한 호칭어, 간접 호칭 표현 세 부분으로 분류하였고, 친족 호칭어는 친족어의 항렬을 기준으로 같은 항렬, 부모 항렬, 조부모 항렬의 세 부분으로 분류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두루 높임 호칭어에 대한 구체적 쓰임 사례를 통해 비교·분석한 다음 한국어와 중국어의 두루 높임 호칭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였다.
제4장에서는 인터넷 공간에서 쓰인 통신 언어 자료를 중심으로 새로운 형식의 두루 높임 호칭어에 대해 논의하였다. 인터넷에서 널리 쓰이는 호칭어와 특정 사이트에서 쓰이는 호칭어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한국어와 중국어의 인터넷 두루 높임 호칭어의 쓰임을 분석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었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두루 높임 호칭어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려 한 이 연구가 두 언어의 이해와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더 나아가 한국어와 중국어 학습자들에게 유익한 참고 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이 영역에 대한 심화된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 주제어: 두루 높임 호칭어, 호칭어, 친족 호칭어, 통신 언어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types and uses of slightly honorific address terms in the contemporary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from linguistic viewpoint, an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types and uses of slightly honorific address terms in the contemporary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from linguistic viewpoint, an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Chapter I presented the purposes of research, reviewed the outcomes of previous studies, and explained the objects and methods of research. Chapter II discussed the definitions of address term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and defined ‘slightly honorific address term’ from social viewpoint.
Chapter III analyzed common usage of slightly honorific address terms used commonly in daily life. They are divided into two types named common address terms and kinship address terms. Common address terms were again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which were address terms using a title, those based on age, and indirect vocative expressions. Kinship address terms were also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kin relationship, which were those for the same generation for parent generation, and for grandparent generation.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usage of each language's slightly honorific address terms, the writer found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hapter Ⅳ discussed new forms of slightly honorific address terms based on the data of communication language on the Internet. They were divided into widely used address terms and those used at specific sites. It analyzes the usage and the uses of Korean and Chinese slightly honorific address terms on the Internet, an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The outcome of this study, which attempted to make comparative analysis on slightly honorific address terms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from linguistic viewpoint and to explai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the two languages. Furthermore,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reference for Korean and Chinese language learners, and more advanced research could be continued in this area.
Keywords: slightly honorific address terms, address terms, kinship address terms, computer communication language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