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유학생과 여성 결혼이민자의 구어 발화에 나타난 평균발화길이와 유창성 간의 상관관계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aim of the study is to measure the Mean Length of Utterance(MLU)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female immigrants in spoken discourse, and to figure out what MLU does as a subcategory of Fluency. MLU in Morphemes and MLU in Words were measured from...

The aim of the study is to measure the Mean Length of Utterance(MLU)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female immigrants in spoken discourse, and to figure out what MLU does as a subcategory of Fluency. MLU in Morphemes and MLU in Words were measured from each speakers, and were picked up disfluency features among the discourse. Another experiment based on the native Korean speaker discourse was designed to compare and analyze with non-native Korean speakers in order to check the non-native Korean speakers developmental stage.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nd considers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major study through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The second chapter provides concept of fluency and disfluency as well as theoretical background on MLU. Then, the third chapter explains the procedure to collect datum.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raised by previous research and the methods for analysis are also discussed.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and with the result, main investigation was designed in a proper way. The fourth chapter shows each MLU in Morphemes and MLU in Words of non-native Korean speakers and compares with native Korean in order to examine how much words and morphemes the non-native Korean use. Not only the MLU, disfluent features were checked and were showed the features frequency. And the last, three different textbook was analyzed in order to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xtbook MLU and the real utterance by native Korean.
The fifth chapter provide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 further aims to apply MLU to measure speaking fluency in Korean,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fourth chapter.

Through this study, I discovered the MLU in Morphemes and MLU in Words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studied Korean Language in a official institute were longer than female immigrants who learned in a real life only. The reason of the difference seems like due to the official education. In terms of comparing with native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be spoken Korean in advanced level, but were using 70% of words and morphemes of native Korean. But advanced-2 level textbook shows similar MLU as a native speaker, so it looks like textbooks are implying real speaking condition in terms of length. It was hard to find clarified relationship between MLU and fluency but length of residence could be the possible reason. There is further long-term experiments are needed based on bigger sampling.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과 여성 결혼이민자의 구어 발화를 대상으로 평균발화길이(MLU: Mean Length of Utterance)를 측정하고 평균발화길이유창성의 하위범주로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과 여성 결혼이민자의 구어 발화를 대상으로 평균발화길이(MLU: Mean Length of Utterance)를 측정하고 평균발화길이가 유창성의 하위범주로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각 화자별 평균형태소길이와 평균낱말길이를 측정하였으며 발화에 나타난 비유창성 특징을 정리하였다. 또한 평균발화길이가 본래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살펴 볼 목적으로 고안되었다는 점을 감안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험을 별도 진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주요 연구들의 의의와 한계점을 고찰하고 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유창성 및 비유창성의 개념과 평균발화길이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연구 대상을 선정하고 연구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자료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장에서는 예비 조사를 우선 실시하였으며 부족한 점을 보완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각 발화자의 평균낱말길이 및 평균형태소길이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한국인의 발화와 비교하여 발화자들이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의 낱말과 형태소를 사용하여 발화하고 있는 것인지 유추해 보았다. 또한 비유창성 빈도를 측정, 제시하여 어떤 비유창성의 특징을 많이 보이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현재 한국어 교재 중 세 종류를 선정, 분석하여 한국어 교재와 실제 한국인 발화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외국인의 한국어 구어발화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점과 보완해야 할 점 그리고 한국어 말하기 평가 시 적용 가능한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식 교육 경험이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평균낱말길이와 평균형태소길이가 습득을 통해 한국어를 익힌 여성 결혼이민자보다 더 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공식교육의 유무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경희대학교 한국어 교재를 기준으로 마지막 단계인 고급 2의 경우 한국인 화자의 평균발화길이와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어 공식교육에서의 발화길이는 실제성을 반영한 말하기를 교육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고급 수준의 한국어를 구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인과 비교해 보았을 때 모국어 화자의 약 70%정도의 낱말과 형태소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발화길이와 유창성 간에서는 직선적인 상관관계를 찾기는 어려웠으나 거주기간이 유창성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더 많은 표집을 대상으로 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