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시를 극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양상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표현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표현들은 표현할 내용을 생성하는 과정을 거친 결과물이다. 이는 곧 표현에는 사고를 질적으로 확충해줄 수 있는 이해가 먼저 확보되어야 함을 뜻하며, 이러한 점에서 시 텍스트는 표현을 위한 적절한 선행 텍스트로서의 가능성을 지닌다. 지금까지 한국어교육에서의 표현 교육은 연습과 반복을 통한 숙달을 중시할 뿐, 생각을 구체화하고 조직화하는 과정에서 창의성이 개입할 여지가 제한되어 있었다. 무엇보다 이 모든 활동에서 학습자가 그저 수동적인 존재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 본 연구가 주목한 부분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는 극화 활동이 학습자로 하여금 능동적인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보고, 시의 극화를 통한 과정 중심적인 표현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표현 주체가 구체적인 텍스트를 생산하기 위해 어떻게 대상을 인식하고 표현할 내용을 생성하고 있는지 살피는 것에서 논의를 출발한다. 그리고 극화 활동은 ‘마치~인 것처럼’이라는 창의적 가정을 함으로써 허구를 실제화 하고, 퍼소나를 통해 동일시와 인격화를 겪는 과정에서 생각을 행동으로 옮기며, 궁극적으로 이 모든 것은 언어수행을 통해 지식을 구성하고 창출하는 과정임을 밝혔다. 이러한 이론적 바탕으로 토대로, 극화 활동이 갖는 가능성과 그 활용 방법이 갖는 실천성을 가늠하기 위해 실제 학습자들의 극화 활동 과정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는 크게 세 단계로 나타났다. 가장 먼저 시 텍스트를 읽는 과정에서 표현을 위한 지식을 생성한다. 이때의 시 감상은 단순한 읽기가 아니라,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키고 상상력을 이끌어내는 과정으로, 이러한 작용을 통해 학습자는 시 텍스트를 내재화하여 심층적인 고찰을 하고, 경험을 동기화시켜 하나의 의미를 창조해낸다. 다음은 대본화 과정에서 드러나는 글쓰기 표현의 양상이다. 대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시에 담겨있는 감각적인 어휘들을 극으로 전이시켜 대화를 만들어 내고 다층화된 맥락으로 구성된 복합적 텍스트를 구성했다. 이러한 과정은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적인 대화를 통해 이루어지며 학습자들은 이러한 과정을 겪으면서 스스로 오류를 교정하고 적절한 표현을 찾아갈 뿐만 아니라, 알고 있는 내용을 응용 및 적용하며 지식을 새롭게 구성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대본은 연극 공연을 통해 다시 한 번 점검을 받는다. 학습자들은 대본을 연극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즉흥적인 대처 능력을 배우고, 언어적 능력 외에 비언어적 능력을 터득하며, 교실 안의 오브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공간을 실제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교실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교육의 내용을 구안하였다. 먼저 시의 극화 활동은 시 텍스트를 극으로 바꾸는 것 외에도, 학습자의 주도권을 강화하면서 능동적인 참여를 불러일으키는 국면 역시 중요하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과정 중심 극화를 위한 전제를 제시하였다. 그 전제는 시 텍스트의 선택과 교사의 역할로 압축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전제 하에 의미의 확장을 위한 상상력과 비판적 사고, 창의적인 표현, 극 형상화의 구현을 교육 내용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법은 질문을 통해 배경지식을 활성화 하고, 화소를 발견하여 이를 경험과 재구성을 하는 한편, 집단 비계를 통해 상호 작용적인 대화를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특히 동료 학습자가 제공하는 집단 비계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집단적으로 형성된 도움은 학습자 간에 입력의 교환 기회뿐만 아니라 학습자 자신의 지식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을 명확히 하였다. 한국어교육에서 극화 활동의 과정은 학습자의 자율적인 표현의 연속체라고 볼 수 있다. 학습자들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 비언어적 능력을 포함한 의사소통 능력을 키울 수가 있고, 스스로 상호 문화적 조정자가 됨으로써 적절한 언어문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 긍정적인 표현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주요어 : 한국어교육, 시, 극화, 표현 교육, 과정 중심 드라마, 상호 문화적 조정자, 언어수행, 집단 비계 학 번 : 2010-21459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