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문화어휘의 중국어 번역 연구: 프레임이론을 통한 해외 한국 홍보물 번역을 중심으로
본고는 한국 문화어휘의 중국어 번역에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인 독...
한국어 문화어휘의 중국어 번역 연구: 프레임이론을 통한 해외 한국 홍보물 번역을 중심으로
본고는 한국 문화어휘의 중국어 번역에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인 독자들에게 더 나은 번역 방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정부에서 간행한 한국의 해외 홍보물을 대상으로 문화어휘를 유형별로 분류하였으며 중국인 독자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해 내었다. 그리고 프레임이론의 시각으로 기존 번역의 문제점을 살피고 대안이 될 수 있는 번역 전략을 모색하였다.
언어와 문화는 상호의존하며 상호 영향을 미치는 불가분적인 관계이다. 언어와 문화의 밀접한 관계를 제일 잘 표현할 수 있는 언어 단위가 어휘인 만큼 서로 다른 문화의 차이도 어휘에서 제일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특히 전형적인 문화어휘는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성을 띠고 있다. 예를 들어 ‘만리장성(?城)’, ‘치파오(旗袍)’와 같은 단어에서 사람들은 중국을 연상하게 되고 ‘김치’, ‘한복’에서는 한국과 한국의 음식 문화, 복식 문화를 연상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문화어휘는 번역에서 우선 고려되어야 할 대상이다. 문화어휘는 한 민족, 한 사회단체의 문화를 함축적으로 내포하고 있으므로 대외 홍보용 문화어휘의 번역은 문화 전파에서 국가 이미지를 세우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적절한 번역은 민족 문화의 친화력을 보여줄 수 있고, 올바른 문화 전파에 촉진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반면에 잘못된 번역은 문화 전파에 장애 요소가 될 수도 있고, 심지어 오해와 반감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문화어휘의 번역은 보편적인 공식이 아닌 번역자에 의한 임의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같은 문화어휘임에도 다양하게 번역되고 있다. 번역자는 문화 전달 메시지를 생산하는 전문가로서 실제 번역 작업 과정에서 종종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결정을 내릴 것을 요구받게 되는데(Stolze, 2011:201), 실제 번역 현장에서 문화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책임지고 있는 번역자들이 어떻게 문화 간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듣기는 쉽지 않다. 또한 실제 번역 수행 과정에서 어려움이 발생했을 때 어떠한 노하우를 택해야 할지에 대한 대답 역시 명확하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 해외 홍보물 텍스트에 나타난 문화어휘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그것들의 번역 방법 및 그것으로 인한 문제점을 분석한 후 그 결과가 번역 현장에서 어떤 시사점을 가지는지 살펴볼 것이다. 더 나아가 문화어휘의 번역을 프레임이론에 접목시켜 프레임이론의 시각으로 기존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좀 더 나은 번역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