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동사 다의어의 연어중심 교육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한국동사 다의어의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외국인을 위해 편찬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에서 다의동사를 선정하여, 이중에서 그 교육 방법으로 ‘연어...

본 연구는 한국어 동사 다의어의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외국인을 위해 편찬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에서 다의어 동사를 선정하여, 이중에서 그 교육 방법으로 ‘연어’를 활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다의어들을 선정하여 ‘연어 중심 교육이 효과적인 다의어’로 분류하고 그 교수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기술하고 의미 확장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다의어 교육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다의어의 의미 구조 및 의미 확장 이론을 살펴보았고, 본 연구에 필요한 연어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다의어 교육에 있어서 왜 연어가 필요한지에 대한 연어 중심 다의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기존의 다의어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현재 교실에서 다의어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앞선 연구들에서 지적하고 있는 다의어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았고, 교재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연어 중심 교육이 효과적인 다의어’로 분류하고 있는 다의어들이 교재 내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을 토대로 ‘한국어 교육용 다의어 목록’을 작성하였고, 이것을 다시 교육 방법에 따라 세 가지로 유형 분류를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연어 중심 교육이 효과적인 다의어’의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연어 중심 교육이 효과적인 다의어’의 연어를 등급화 하였고, 이에 따라 초급부터 고급까지의 교육 방법을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은 결론으로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어 어휘 교육에 있어서, 한국어 교육용 다의어 목록을 작성하였다는 점과 이들 다의어를 교육적 특성에 따라 세 가지로 유형 분류하여 교육 방법으로 ‘연어’를 활용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t as presenting the teaching plan after selecting the polysemous words that can be taught more effectively if ‘collocation’ is utilized as the education method to classify as ‘polysemous words in which collo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t as presenting the teaching plan after selecting the polysemous words that can be taught more effectively if ‘collocation’ is utilized as the education method to classify as ‘polysemous words in which collocation-based education is effective’ by selecting polysemous verbs from the <Learner's Dictionary of Korean> compiled for foreigners.
To make this possible, chapter 1 has describ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studies related to the Korean polysemous word education based on the semantic extension.
Chapter 2 has examined the semantic structure of polysemous word and semantic extension theory as well as describing the concept and types of collocations necessary for this study along with the necessity of collocation-based polysemous word education as to why collocation is necessary in terms of polysemous word education.
Chapter 3 has examined the problems of polysemous word education pointed out in the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examine how existing polysemous word education was performed and how polysemous word education is performed in current classrooms as well as examining on how the polysemous words classified as ‘polysemous words in which collocation-based education is effective’ in this study are dealt with in textbooks through textbook analysis.
Next, the ‘polysemous word lis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prepared based on the <Learner's Dictionary of Korean> and this has been classified once again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education method.
While chapter 4 has presented the teaching plan of ‘polysemous words in which collocation-based education is effective’, the polysemous words of ‘polysemous words in which collocation-based education is effective’ have been graded to present the education method from beginner to advanced accordingly.
Finally, chapter 5 has summarized the details of study as conclusion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study on this basi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prepared a polysemous word lis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Korean language vocabulary education and the ‘collocation’ was used as education method by classifying these polysemous word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