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하게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는 그 구성원이 될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들의 학교생활 부적응을 연구한 앞선 ...
급격하게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는 그 구성원이 될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들의 학교생활 부적응을 연구한 앞선 연구자들은 부적응의 원인 중 하나로 어휘력 부족으로 인한 학습 부진을 들고 있다. 이 때 어휘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어휘가 아니라 학습용 어휘가 따로 있다는 것이 앞선 연구자들의 견해이다. 이에 연구자는 학습 한국어의 개념과 유형을 명확히 한 뒤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 영역의 학습 한국어를 선정하고 다문화 가정 학생의 어휘 이해 실태를 파악하여 학습 한국어의 제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학습 한국어의 개념과 유형을 규정하고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 영역의 학습 한국어를 추출하였다. 학습 한국어의 개념은 앞선 연구자들이 정의한 학습 관련 한국어의 개념을 분석하여 찾은 요인인 사용 대상, 사용 목적, 사용 공간, 출현 빈도의 요건을 고려하여 구체화하였다. 학습 한국어의 유형은 출현 빈도와 어휘의 성격을 고려하여 크게 학습 도구어와 학습 내용어로 나누었다. 학습 도구어는 어휘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일상어 속성의 학습 도구어, 고유 학습 도구어 및 학습 내용어 속성의 학습 도구어로 세분화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 5학년 사회과 교과서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역사 영역의 학습 한국어 어휘 목록을 학습 한국어의 유형에 따라 추출하였다.
Ⅲ장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역사 영역 학습 한국어의 이해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해 실태 조사를 위한 검사용 어휘는 학습 한국어의 유형과 출현 빈도를 고려하여 추출하였으며, 유형별 학습 한국어 추출의 적합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의 검토를 거쳤다. 어휘의 이해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어휘의 개념을 묻는 다양한 형식의 문항을 제작하여 일반 학생과 다문화 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일상어 속성의 학습 도구어 경우, 일반 학생과 국제결혼가정 학생은 95% 이상의 높은 정답률을 보인 반면 외국인근로자가정 학생은 80.0%의 정답률을 보였다. 고유 학습 도구어의 경우, 일반 학생은 93.9%, 국제결혼가정 학생은 88.9%, 외국인근로자가정 학생은 76.7%의 정답률을 보였다. 학습 내용어 속성의 학습 도구어 경우, 일반 학생과 국제결혼가정 학생은 약 86.0%의 정답률을 보인 반면 외국인근로자가정 학생은 71.1%의 정답률을 보였다. 학습 내용어의 경우, 일반 학생은 81.9%, 국제결혼가정 학생은 73.47%, 외국인근로자가정 학생은 65.4%의 정답률을 보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통하여 일반 학생, 국제결혼가정 학생, 외국인근로자가정 학생이 학습 한국어의 유형별로 이해 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제2 언어 교육에서 어휘 지도법을 연구한 여러 학자들의 논의를 살펴보고 그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방법에 연구자의 견해를 첨가하여 초등학교 역사 영역의 학습 한국어 제시 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자들의 논의에서 공통적으로 찾을 수 있는 어휘 지도법은 그림이나 사진 활용하기, 신체 활동 활용하기, 문맥 활용하기가 있었다. 여기에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한 만화를 활용한 방법과 다문화 가정 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모어 번역을 활용한 방법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이 연구는 학습 한국어의 개념과 유형을 구체화하고 다문화 가정 학생의 어휘 이해 실태를 조사하여 집단별로 중점을 두고 교육해야 할 학습 한국어 유형을 파악하였으며, 다문화 가정 학생의 어휘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어휘 제시 방안을 제안한 것에 그 의의를 가진다. 이 연구는 사회과 역사 영역에서의 어휘 분석에 제한을 두고 있기 때문에 향후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교과별, 영역별 학습 한국어 연구와 어휘 교수법 연구로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