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결혼이민자의 호칭어 사용 양상 연구 : 베트남, 중국, 일본, 필리핀 여성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의 목적은 여성 결혼이민자의 호칭어 사용 양상을 알아보고 이를 한국어 모어 화자의 사용 양상과 비교하여 그 특성과 차이점을 고찰함과 동시에 드라마 자료를 분석하여 여성 결혼...

연구의 목적은 여성 결혼이민자의 호칭어 사용 양상을 알아보고 이를 한국어 모어 화자의 사용 양상과 비교하여 그 특성과 차이점을 고찰함과 동시에 드라마 자료를 분석하여 여성 결혼이민자의 호칭어 사용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한국어 모어화자들이 사용하는 호칭어를 분석하기 위해 드라마 대본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드라마에 나타난 호칭어를 유형별로 분석하고 사회적 변인별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호칭어 유형으로는 이름형, 직함형, 친족형, 대명사형, 주의끌기형, 영형으로 나누고, 사회적 변인별로는 친밀도와 상대적인 지위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6가지 호칭어 유형에서는 호칭어를 사용하지 않고 생략하는 영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친족형, 이름형, 직함형, 대명사형, 주의끌기형 호칭어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변인별 분석 결과, 친밀도와 상대적 지위는 호칭어 사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친밀도에서는 친하지 않는 사이에서 호칭어를 사용하지 않는 특징이 있었고 상대적 지위에서는 상대적 지위가 높을 때 호칭어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호칭어 사용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호칭어 사용 양상을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본 결과, 한국어 모어 여성화자와 여성 결혼이민자의 호칭어 사용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베트남과 중국은 한국어 모어 여성화자보다 친족확대 호칭어는 더 많이 사용하였고 일본 여성 결혼이민자는 한국어 모어 여성화자보다 호칭어를 사용하는 횟수가 적었다. 또한 필리핀 여성 결혼이민자는 호칭어를 과다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여성결혼이민자의 호칭어 사용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드라마 분석을 통해 모어 화자들의 호칭어 사용을 유형별로 연구하였다는 점과 설문조사를 통해 베트남, 중국, 일본, 필리핀 여성 결혼이민자와 모어 화자와의 호칭어 사용 양상을 비교하여 호칭어 사용에 있어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제고하는 방안이 되게 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호칭어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ddress term use pattern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y comparing it with the pattern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present the basic data to enhance the a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ddress term use pattern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y comparing it with the pattern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present the basic data to enhance the ability of address term use of married immigrant women by analyzing drama data. Thus, to address terms actually used by Korean native speakers, this study analyzed address terms by type that appeared in dramas and classified them by social variable targeting drama script materials.
The address term types were classified by the type of name, title, relative, pronoun, attentive, zero type and social variables into familiarity and relative posi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showed that zero type omitting an address term without using it appeared the most in the 6 address term patterns and next, they appeared the most in the order of relative type, name type, title type, pronoun type and attentive type address term. The result of analyzing social variables showed that familiarity and relative position affect address term use.
In case of familiarity, address terms were not used much between unfamiliar people and address terms turned out to be used a lot when the relative position is higher.
To find out actual address term use patterns, address term use patterns wer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address term use of female Korean native speakers and married immigrant women.
Vietnamese and Chinese women were investigated to use more relative expanding address terms than female Korean native speakers. Japanese women married immigrants had less address terms than Korean native speakers and Filipino married immigrant women address terms excessiv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address term us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address term use of Korean native speakers by type through the drama analysis and have enhanced Korean communication skills in address term use by comparing address term use patterns of Vietnamese, Chinese, Japanese and Filipino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those of native speakers through the survey.
Furthermore, ongoing research on address terms need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o help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of married immigrant women.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