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TOPIK 3급, 4급, 5급 그리고 6급의 숙달도를 지닌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실패 양상과 화용 능력 발달 양상을 살펴본 다음 이에 대한 원인을 밝히는 데에 있다.
중국...
본 연구의 목적은 TOPIK 3급, 4급, 5급 그리고 6급의 숙달도를 지닌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실패 양상과 화용 능력 발달 양상을 살펴본 다음 이에 대한 원인을 밝히는 데에 있다.
중국인 학습자의 화용적 실패 양상과 화용 능력 발달 양상은 어떠한가? 원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한국어의 특성과 본 연구의 주제에 맞춰서 화용적 실패 요인을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설정하였다. 화용적 실패를 화용언어적 실패와 사회화용적 실패로 구별하였으며 화용적 실패 관련 이론을 기반으로 화용 능력을 이해와 생산 능력으로 나누어 연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화용적 실패와 화용 능력 발달 양상을 살펴본 다음 이에 대한 원인을 밝히는 데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해 능력에는 AJT, 생산 능력에는 DCT를 사용하여 각 표현이 내포하고 있는 화용적 의미를 학습자들이 올바르게 이해하고 생산할 수 있는지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그리고 연구 목적에 따라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화용 능력 이론과 화용적 실패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화용적 실패 이론을 기반으로 분석의 틀을 설정하였다. 3장에서는 선행 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는 크게 화행에 관한 연구, 화용 발달에 관한 연구, 그리고 화용적 실패에 관한 연구로 분류하였다. 4장에서는 연구 방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화용적 실패 요인을 기반으로 상황을 설정하고 추출하였다. 연구 도구 AJT와 DCT를 만들고 피험자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5장에서는 이해 상황에서의 화용적 실패에 대해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화용적 실패 양상, 화용적 이해 능력 발달 양상, 그리고 원인에 대해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생산 상황에서의 화용적 실패에 대해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화용적 실패 양상, 화용적 생산 능력 발달 양상, 그리고 원인에 대해 설명하였다. 7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밝혔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화용 능력 측정 테스트를 시도함으로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발달 양상의 일면을 들여다 볼 수 있게 하였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특히 화용적 실패 양상과 원인을 밝힘으로써 한국어 화용 교육에 좋은 자료를 제공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화용적 실패를 다각도로 분석하고자 하는 첫 시도로서, 한국어교육학계에 기여하는 바가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agmatic failure patterns and pragmatic competence patterns following to proficiency ranking of Chinese speaking learners of Korean. To meet the goal of the study, it conducted acceptability judgment test and discourse com...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agmatic failure patterns and pragmatic competence patterns following to proficiency ranking of Chinese speaking learners of Korean. To meet the goal of the study, it conducted acceptability judgment test and discourse completion test to Chinese learners with ranking 3, 4, 5 and 6 in Test of Proficiency.
What is pragmatic failure patterns and pragmatic competence patterns of Chinese speaking learners of Korean? What is the cause? This study began with these ques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pragmatic failure factors, set a framework of the analysis. Pragmatic failure was classified as pragmalinguistic failure and sociopragmatic failure. Based on pragmatic failure theories, pragmatic competence was classified as pragmatic productive competence and pragmatic receptive competence to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agmatic failure patterns and pragmatic competence patterns of Chinese speaking learners of Korean. To this end, measured pragmatic productive competence with AJT and measured pragmatic receptive competence with DCT.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one explains the objective and purpose of the study. Chapter two introduces two theoretical bases of the study: pragmatic competence theory and pragmatic failure theory. Chapter three studies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speech act theory, pragmatic competence development, and pragmatic failure. Chapter four summarizes the research methods. According to the pragmatic failure factors, create situations. Research tools DCT and AJT was created to collect data subjects. Chapter five, after receptive situation in pragmatic failure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pragmatic receptive failure patterns and pragmatic receptive competence development to explain the cause. Chapter six, after productive situation in pragmatic failure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pragmatic productive failure patterns and pragmatic productive competence development to explain the cause. Chapter seven summarizes entire findings and presen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o state the future implications of the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ir results were compared to those of Korean native speakers. The study was able to draw two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First, Chinese speaking learners of Korean showed unbalanced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pragmatic receptive competence and pragmatic productive competence. Second, learners’ pragmatic receptive competence developed following to their proficiency ranking; however, pragmatic productive competence did not show development following to leaners’ proficiency ranking. Although the mean of scores grew, it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claimed that the unbalanced pragmatic competence must be considered in teaching Korean to Chinese learners and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