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도 아직 미흡한 화행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이다. 화행은 각 언어권마다 특유한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적절한 한국어 화행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도 아직 미흡한 화행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이다. 화행은 각 언어권마다 특유한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적절한 한국어 화행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모국어 화행 양상과 한국어 화행 양상 차이를 정확히 알고 있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특히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거절화행 교육을 위하여 한국어와 일본어의 거절화행 실현양상에 어떠한 공통점 및 차이점이 있는지를 정확히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수집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거절화행 양상을 자료를 분석 및 검토하여 일본인 한국어학습자를 위한 거절화행 교육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제언을 하고자 한다. 기존의 화행연구들은 연구방법으로 담화 완성형 테스트(DCT, Discourse Completion Test)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DCT가 구어가 아니라 서면으로 진행된다는 것으로 인해 피험자의 거절 화행이 평소와 다르게 실현될 가능성을 지적하여 이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자연발화에 보다 가까운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역할극을 연구방법으로 선택하였다. 역할극 실험에서 얻은 자료를 통해 한국인과 일본인이 사용하는 거절 전략은 사회적 지위 및 친밀도에 영향을 받아 다르게 실현되는 것을 증명하였고, 두 집단에서 각각 선호하는 전략도 밝힐 수 있었다. 실험 결과는 두 집단에서 실현된 전략 빈도 및 각 전략의 실현위치에도 초점을 맞추어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 결과를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일본인 한국어학습자를 위한 거절하행 교육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