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어는 두 개 이상의 단어가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유창하고 적절한 언어 사용을 위한 필수적인 지식이다. 그러므로 언어 습득 과정에서의 연어 교육은 큰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한...
연어는 두 개 이상의 단어가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유창하고 적절한 언어 사용을 위한 필수적인 지식이다. 그러므로 언어 습득 과정에서의 연어 교육은 큰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한국어 학습자 중 특히 일본인 학습자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언어적 거리가 가까운데도 연어를 이루는 단어의 공기 관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한국어 연어를 다양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을 마련하였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중요한 내용을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연어 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국내 및 일본에서의 선행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적인 관점에서 연어의 범위를 확장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로 일본의 두 개의 대학교에서 네 번의 수업을 통하여 연어 교육의 현황을 교재, 학습자, 교사 세 가지 측면에서 조사하여 한국어 학습 초기 단계에서의 연어 교육과 함께 연어 교육을 위한 충분한 연어 자료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초급 수준의 학습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에서 출현도, 사용도가 높은 연어를 추출하여 연어 대표 목록을 설정하여, 일본인 학습자의 사용상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이를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 유형 분류하였다.
둘째, 연어 학습에 관한 설문지 및 연어 대표 목록에 수록된 연어를 바탕으로 문항을 구성한 연어 사용의 정확성과 다양성을 확인하는 시험지를 구안하여 일본인 중·고급 학습자의 연어 사용의 경향과 그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중급 수준의 학습자는 연어 사용의 정확성 문제, 한국어와 일본어 간의 동사 용법 차이, 한국어 동사 간의 용법 차이로 인하여 연어를 정확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음을 밝혔다. 고급 학습자는 연어 사용의 다양성 문제, 즉 일본어에서 예측하기 어렵거나 일본어에 없는 연어를 다양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연어 사용과 연어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제 요인과의 상관 분석을 통해 연어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연어 사용과 명시적인 연어 학습 및 어휘 학습 방법의 하나인 사전 학습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져, 명시적인 연어 학습과 실제 언어 현상을 고려한 내용을 포함한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연어 사용의 정확성과 다양성은 전혀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아, 연어 사용의 두 가지 측면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에 맞는 교수‧학습 방법을 마련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Ⅲ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연어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을 마련하였다. 연어 사용의 다양성을 연어의 양적 능력, 연어 사용의 정확성을 연어의 질적 능력이라고 다시 정의하여 두 가지 연어 사용 능력 신장을 한국어 연어 교육의 목적으로 설정하여 학습자 수준별로 목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연어의 양적 능력 신장, 연어의 질적 능력 신장과 함께 언어 학습에서의 연어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연어 의식 고양 세 가지를 한국어 연어 교육 내용으로 설정하여 학습자 수준별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어휘 교육의 명시적 접근법을 바탕으로 한국어 연어 교수·학습 방법을 고안하여 학습자 수준별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Ⅱ장에서 마련한 연어 대표 목록을 활용하는 방법도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대학교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교재를 활용하여 일본의 대학교의 실정에 맞도록 한국어 비전공 수업과 한국어 전공 수업을 위한 두 가지 연어 교수‧학습 모형을 마련하였다. 또한 검증을 통해 연어 교수·학습 모형에 궁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논의는 그간의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에 관한 논의를 보충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Collocation is a essential knowledge to use language fluency, and also takes on a primary role in the process of language acquisition. Japanese learners have an advantage of learning Korean language, but they have problem to use korean collocation va...
|